[심층취재] 사케 웃고 막걸리 울고…왜?
입력 2012.12.24 (21:20)
수정 2012.12.24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술자리가 많은 연말 여러분께서는 어떤 술을 즐겨드시나요.
올해 국내 주류시장에서는 일본 술 사케의 인기가 두드러졌습니다.
수입량이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우리술 막걸리는 수출이 30% 가까이 감소하면서 한일 전통주 간 희비가 엇갈렸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걸까요.
<리포트>
식당 밖에서 대기 중인 손님들
<녹취> "한 15분 기다리셔야 하는데 괜찮으시겠어요?"
다양한 일본 정통 요리에
<녹취> "야끼 소바입니다"
곁들이는 술은 단연 '사케'입니다.
일본식 다다미 방으로 꾸며진 사케 전문 주점.
2~30대 젊은층, 특히 여성 애주가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김해영(당산동) : "소주나 맥주는 뒤끝이 안좋잖아요 그런거에 비해서 목넘김도 좋고 그래서 많이 찾는 편이에요."
사케의 알코올 도수는 소주보다 6도 가량 낮은 13도 수준 부드럽고 숙취 부담이 덜한 게 특징입니다.
수입 단가도 1년 전보다 40% 이상 낮아지면서 가격경쟁력도 높아졌습니다.
덕분에 올해 수입량은 4백10만 리터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편의점 관계자 : "사케는 혼자 먹기 좋은 술이라 1인 가구를 겨냥해 작은 사이즈 병으로 판매하고 있어요."
반면에 우리 술 막걸리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수출이 많이 줄어든데다 국내 판매량 역시 꾸준히 감소하면서 5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습니다.
막걸리 수출 시장의 90% 이상은 일본, 일본 내 한류 열풍이 한풀 꺾인데다 최근 무알코올 음료의 돌풍이 막걸리 수요 감소의 원인 중 하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막걸리 품질을 높이는 투자가 부족했다는 지적,
다양한 가격대에 맞는 차별화 없이 단순한 저가 마케팅 전략이 오히려 국내외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됐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박록담(전통주연구소장) : "지금 막걸리는 900원부터 비싸야 만원입니다. 가격이 싸다는 것은 품질 관리에 그만큼 투자를 안 했다는 얘기와도 같은 거거든요."
희비가 엇길린 한 일 전통주 대결
사케의 거센 반격 속에 막걸리의 고급화 전략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술자리가 많은 연말 여러분께서는 어떤 술을 즐겨드시나요.
올해 국내 주류시장에서는 일본 술 사케의 인기가 두드러졌습니다.
수입량이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우리술 막걸리는 수출이 30% 가까이 감소하면서 한일 전통주 간 희비가 엇갈렸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걸까요.
<리포트>
식당 밖에서 대기 중인 손님들
<녹취> "한 15분 기다리셔야 하는데 괜찮으시겠어요?"
다양한 일본 정통 요리에
<녹취> "야끼 소바입니다"
곁들이는 술은 단연 '사케'입니다.
일본식 다다미 방으로 꾸며진 사케 전문 주점.
2~30대 젊은층, 특히 여성 애주가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김해영(당산동) : "소주나 맥주는 뒤끝이 안좋잖아요 그런거에 비해서 목넘김도 좋고 그래서 많이 찾는 편이에요."
사케의 알코올 도수는 소주보다 6도 가량 낮은 13도 수준 부드럽고 숙취 부담이 덜한 게 특징입니다.
수입 단가도 1년 전보다 40% 이상 낮아지면서 가격경쟁력도 높아졌습니다.
덕분에 올해 수입량은 4백10만 리터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편의점 관계자 : "사케는 혼자 먹기 좋은 술이라 1인 가구를 겨냥해 작은 사이즈 병으로 판매하고 있어요."
반면에 우리 술 막걸리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수출이 많이 줄어든데다 국내 판매량 역시 꾸준히 감소하면서 5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습니다.
막걸리 수출 시장의 90% 이상은 일본, 일본 내 한류 열풍이 한풀 꺾인데다 최근 무알코올 음료의 돌풍이 막걸리 수요 감소의 원인 중 하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막걸리 품질을 높이는 투자가 부족했다는 지적,
다양한 가격대에 맞는 차별화 없이 단순한 저가 마케팅 전략이 오히려 국내외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됐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박록담(전통주연구소장) : "지금 막걸리는 900원부터 비싸야 만원입니다. 가격이 싸다는 것은 품질 관리에 그만큼 투자를 안 했다는 얘기와도 같은 거거든요."
희비가 엇길린 한 일 전통주 대결
사케의 거센 반격 속에 막걸리의 고급화 전략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사케 웃고 막걸리 울고…왜?
-
- 입력 2012-12-24 21:22:14
- 수정2012-12-24 22:03:43

<앵커 멘트>
술자리가 많은 연말 여러분께서는 어떤 술을 즐겨드시나요.
올해 국내 주류시장에서는 일본 술 사케의 인기가 두드러졌습니다.
수입량이 지난해보다 70% 이상 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우리술 막걸리는 수출이 30% 가까이 감소하면서 한일 전통주 간 희비가 엇갈렸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걸까요.
<리포트>
식당 밖에서 대기 중인 손님들
<녹취> "한 15분 기다리셔야 하는데 괜찮으시겠어요?"
다양한 일본 정통 요리에
<녹취> "야끼 소바입니다"
곁들이는 술은 단연 '사케'입니다.
일본식 다다미 방으로 꾸며진 사케 전문 주점.
2~30대 젊은층, 특히 여성 애주가들이 많습니다.
<인터뷰> 김해영(당산동) : "소주나 맥주는 뒤끝이 안좋잖아요 그런거에 비해서 목넘김도 좋고 그래서 많이 찾는 편이에요."
사케의 알코올 도수는 소주보다 6도 가량 낮은 13도 수준 부드럽고 숙취 부담이 덜한 게 특징입니다.
수입 단가도 1년 전보다 40% 이상 낮아지면서 가격경쟁력도 높아졌습니다.
덕분에 올해 수입량은 4백10만 리터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편의점 관계자 : "사케는 혼자 먹기 좋은 술이라 1인 가구를 겨냥해 작은 사이즈 병으로 판매하고 있어요."
반면에 우리 술 막걸리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수출이 많이 줄어든데다 국내 판매량 역시 꾸준히 감소하면서 5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습니다.
막걸리 수출 시장의 90% 이상은 일본, 일본 내 한류 열풍이 한풀 꺾인데다 최근 무알코올 음료의 돌풍이 막걸리 수요 감소의 원인 중 하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막걸리 품질을 높이는 투자가 부족했다는 지적,
다양한 가격대에 맞는 차별화 없이 단순한 저가 마케팅 전략이 오히려 국내외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됐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박록담(전통주연구소장) : "지금 막걸리는 900원부터 비싸야 만원입니다. 가격이 싸다는 것은 품질 관리에 그만큼 투자를 안 했다는 얘기와도 같은 거거든요."
희비가 엇길린 한 일 전통주 대결
사케의 거센 반격 속에 막걸리의 고급화 전략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