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번째 국립공원 된 무등산…24년 만에 지정
입력 2012.12.27 (21:23)
수정 2012.12.27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4년 만에 또 하나의 새로운 국립공원이 탄생했습니다.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지에 주상절리대가 자리잡아 남도의 명산으로 알려진 광주 무등산이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이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석공이 반듯하게 다듬어 층층이 쌓아올린 듯한 무등산 입석대와 서석대,
해발 천 미터 이상의 고지에는 유례가 없다는 주상절리대는 지구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사계절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무등산이 우리나라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국립공원이 새로 지정되기는 1988년 변산반도와 월출산 이후 24년 만입니다.
<인터뷰> 등산객 : "도립하고 국립하고 벌써 글자부터 틀리니까 국립이면 훨씬 낫겠죠."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면적은 모두 75.425제곱킬로미터로 기존 공원에서 2.5배 늘었습니다.
수달 등 멸종위기 9종을 포함해 2천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환경자원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큽니다.
또, 광주광역시가 무등산 주상절리대를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를 추진하는데, 한 걸음 다가서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오구균(조경학과 교수) : "상가 촌은 그야말로 1980년 풍경이거든요. 복구정비하면서 환경 친화적으로..."
도심과 가까워 한 해 탐방객이 7백만 명에 이르는 광주 무등산은 국립공원 지정과 함께 천만 명 탐방객 시대를 열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진연입니다.
24년 만에 또 하나의 새로운 국립공원이 탄생했습니다.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지에 주상절리대가 자리잡아 남도의 명산으로 알려진 광주 무등산이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이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석공이 반듯하게 다듬어 층층이 쌓아올린 듯한 무등산 입석대와 서석대,
해발 천 미터 이상의 고지에는 유례가 없다는 주상절리대는 지구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사계절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무등산이 우리나라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국립공원이 새로 지정되기는 1988년 변산반도와 월출산 이후 24년 만입니다.
<인터뷰> 등산객 : "도립하고 국립하고 벌써 글자부터 틀리니까 국립이면 훨씬 낫겠죠."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면적은 모두 75.425제곱킬로미터로 기존 공원에서 2.5배 늘었습니다.
수달 등 멸종위기 9종을 포함해 2천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환경자원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큽니다.
또, 광주광역시가 무등산 주상절리대를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를 추진하는데, 한 걸음 다가서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오구균(조경학과 교수) : "상가 촌은 그야말로 1980년 풍경이거든요. 복구정비하면서 환경 친화적으로..."
도심과 가까워 한 해 탐방객이 7백만 명에 이르는 광주 무등산은 국립공원 지정과 함께 천만 명 탐방객 시대를 열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진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1번째 국립공원 된 무등산…24년 만에 지정
-
- 입력 2012-12-27 21:25:02
- 수정2012-12-27 21:59:45

<앵커 멘트>
24년 만에 또 하나의 새로운 국립공원이 탄생했습니다.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지에 주상절리대가 자리잡아 남도의 명산으로 알려진 광주 무등산이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이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석공이 반듯하게 다듬어 층층이 쌓아올린 듯한 무등산 입석대와 서석대,
해발 천 미터 이상의 고지에는 유례가 없다는 주상절리대는 지구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사계절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무등산이 우리나라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국립공원이 새로 지정되기는 1988년 변산반도와 월출산 이후 24년 만입니다.
<인터뷰> 등산객 : "도립하고 국립하고 벌써 글자부터 틀리니까 국립이면 훨씬 낫겠죠."
무등산 국립공원 지정 면적은 모두 75.425제곱킬로미터로 기존 공원에서 2.5배 늘었습니다.
수달 등 멸종위기 9종을 포함해 2천여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환경자원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데 의미가 큽니다.
또, 광주광역시가 무등산 주상절리대를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를 추진하는데, 한 걸음 다가서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오구균(조경학과 교수) : "상가 촌은 그야말로 1980년 풍경이거든요. 복구정비하면서 환경 친화적으로..."
도심과 가까워 한 해 탐방객이 7백만 명에 이르는 광주 무등산은 국립공원 지정과 함께 천만 명 탐방객 시대를 열게 됐습니다.
KBS 뉴스 이진연입니다.
-
-
이진연 기자 jinlee@kbs.co.kr
이진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