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 불법 취업’ 퇴직 고위공무원 대거 적발
입력 2012.12.28 (21:16)
수정 2012.12.28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퇴직 후 불법으로 민간기업에 취직한 고위 공무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전관예우나 비리를 막기 위해 사전에 취업 심사를 받아야하는데도 심사없이 바로 취업한 겁니다.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주요 정책을 추진했던 1급 공무원 A씨, 퇴직하자마자 한 기업의 고문으로 취직했습니다.
해당 기업은 정책과 관련된 계약업무를 맡은 곳이라서 재취업 규정상 갈 수 없는 회삽니다.
<녹취> 장동엽(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 "정책들을 미리 해당기업에서 알아낼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되기도 하고 또 기업의 입장에서 유리한 정책을 역으로 제안해서 정부 정책에 반응적으로 가는 방식으로 로비의 창구로 활용될 수도 있지요."
공무원 윤리위원회의 취업 심사를 거쳤다면 당연히 취업이 안 됐겠지만 문제의 공무원은 아예 심사를 받지 않았습니다.
이런 식으로 불법 취업한 고위 공무원 50여 명이 적발됐습니다.
대검찰청(6명)이 가장 많았고 국토해양부(3명)와 금융위원회(3명) 등 대부분 부처 출신들이 포함됐습니다.
퇴직 공무원들은 고액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민간기업의 사외이사나 감사, 고문 등으로 재취업했습니다.
적발된 공무원에게는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녹취> 김민재(행정안전부 윤리담당관) : "밀접한 업무관련성이 발견된 3명에 대해서는 취업해제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고위 공무원의 불법 취업이 대규모로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퇴직 후 불법으로 민간기업에 취직한 고위 공무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전관예우나 비리를 막기 위해 사전에 취업 심사를 받아야하는데도 심사없이 바로 취업한 겁니다.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주요 정책을 추진했던 1급 공무원 A씨, 퇴직하자마자 한 기업의 고문으로 취직했습니다.
해당 기업은 정책과 관련된 계약업무를 맡은 곳이라서 재취업 규정상 갈 수 없는 회삽니다.
<녹취> 장동엽(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 "정책들을 미리 해당기업에서 알아낼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되기도 하고 또 기업의 입장에서 유리한 정책을 역으로 제안해서 정부 정책에 반응적으로 가는 방식으로 로비의 창구로 활용될 수도 있지요."
공무원 윤리위원회의 취업 심사를 거쳤다면 당연히 취업이 안 됐겠지만 문제의 공무원은 아예 심사를 받지 않았습니다.
이런 식으로 불법 취업한 고위 공무원 50여 명이 적발됐습니다.
대검찰청(6명)이 가장 많았고 국토해양부(3명)와 금융위원회(3명) 등 대부분 부처 출신들이 포함됐습니다.
퇴직 공무원들은 고액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민간기업의 사외이사나 감사, 고문 등으로 재취업했습니다.
적발된 공무원에게는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녹취> 김민재(행정안전부 윤리담당관) : "밀접한 업무관련성이 발견된 3명에 대해서는 취업해제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고위 공무원의 불법 취업이 대규모로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간기업 불법 취업’ 퇴직 고위공무원 대거 적발
-
- 입력 2012-12-28 21:16:47
- 수정2012-12-28 22:09:26

<앵커 멘트>
퇴직 후 불법으로 민간기업에 취직한 고위 공무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전관예우나 비리를 막기 위해 사전에 취업 심사를 받아야하는데도 심사없이 바로 취업한 겁니다.
김학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주요 정책을 추진했던 1급 공무원 A씨, 퇴직하자마자 한 기업의 고문으로 취직했습니다.
해당 기업은 정책과 관련된 계약업무를 맡은 곳이라서 재취업 규정상 갈 수 없는 회삽니다.
<녹취> 장동엽(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 : "정책들을 미리 해당기업에서 알아낼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되기도 하고 또 기업의 입장에서 유리한 정책을 역으로 제안해서 정부 정책에 반응적으로 가는 방식으로 로비의 창구로 활용될 수도 있지요."
공무원 윤리위원회의 취업 심사를 거쳤다면 당연히 취업이 안 됐겠지만 문제의 공무원은 아예 심사를 받지 않았습니다.
이런 식으로 불법 취업한 고위 공무원 50여 명이 적발됐습니다.
대검찰청(6명)이 가장 많았고 국토해양부(3명)와 금융위원회(3명) 등 대부분 부처 출신들이 포함됐습니다.
퇴직 공무원들은 고액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민간기업의 사외이사나 감사, 고문 등으로 재취업했습니다.
적발된 공무원에게는 최대 천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녹취> 김민재(행정안전부 윤리담당관) : "밀접한 업무관련성이 발견된 3명에 대해서는 취업해제조치를 할 예정입니다."
고위 공무원의 불법 취업이 대규모로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김학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