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서울 경전철 재추진…재정 부담은?
입력 2013.07.24 (21:40)
수정 2013.07.25 (07: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직후 원점에서 재검토했던 서울 경전철 노선이 확정됐습니다. 모두9갠데요.
기존 계획과 비교해보면 DMC선이 취소되는 대신 난곡선이 추가됐고 신림선은 서부선과 연결돼 여의도를 거쳐 서남 서북권을 오갈수 있게됐습니다.
또 동북선과 우이신설선 서부선은 길이를 더 늘려 인근 지하철을 갈아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정부가 계획중인 위례신사선과 위례선까지 모두 85KM에이릅니다.
주로 지하철 역세권에서 벗어난 철도 취약 지역에 위치합니다.
이렇게 해서 시내 어디서든 걸어서 10분안에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게 서울시 계획인데요.
하지만 앞선 경전철 사업들이 지방재정을 파탄시키는 애물단지가 됐듯이 서울시도 이런 우려는 없는지 우한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경전철 사업을 들고 나온 건 오세훈 전 시장 때인 2008년.
박원순 시장은 지난해초 사업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경제성이 낮아, 재정부담이 우려된다는 게 이유.
하지만, 오늘은 판단이 달랐습니다.
<인터뷰> 박원순(서울시장) : "굉장히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충분한 타당성 엄밀히 지시. 경전철이 가장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아무도부인못해."
사업비는 8조 5000억원.
노선은 오히려 2곳 늘고 사업비도 60% 이상 올랐습니다.
절반 가량을 민자로 유치하고 운영도 민간에 맡길 예정이지만, 시비도 3조원 이상 들어갑니다.
노선 대부분이 지하로 건설되고...
기본요금을 1050원으로 못박은 것도 재정 부담요인.
민간사업자의 요구 요금은 기본요금보다 높은데, 그 차액을 고스란히 시비로 보전해주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매년 5백억원대로 추정됩니다.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게 서울시 주장.
<인터뷰> 윤준병(도서교통본부장) : "시민의 (요금)부담을 줄이면서 가는 내용이기 때문에 총량적으로 보면 시민의 편익이 더 늘어나는 구좁니다."
하지만 26조원대 적자의 서울시 재정으론 감당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권오인(경실련 국책사업감시팀장) : "용역보고서 결과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서울시의 일방적인 주장이기 때문에 검증작업이 시민사회에서 이뤄져야지 이 사업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부족 재원을 경전철 노선과 겹치는 버스 노선을 줄여 일부 충당하기로 한 것도 벌써부터 논란거립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직후 원점에서 재검토했던 서울 경전철 노선이 확정됐습니다. 모두9갠데요.
기존 계획과 비교해보면 DMC선이 취소되는 대신 난곡선이 추가됐고 신림선은 서부선과 연결돼 여의도를 거쳐 서남 서북권을 오갈수 있게됐습니다.
또 동북선과 우이신설선 서부선은 길이를 더 늘려 인근 지하철을 갈아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정부가 계획중인 위례신사선과 위례선까지 모두 85KM에이릅니다.
주로 지하철 역세권에서 벗어난 철도 취약 지역에 위치합니다.
이렇게 해서 시내 어디서든 걸어서 10분안에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게 서울시 계획인데요.
하지만 앞선 경전철 사업들이 지방재정을 파탄시키는 애물단지가 됐듯이 서울시도 이런 우려는 없는지 우한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경전철 사업을 들고 나온 건 오세훈 전 시장 때인 2008년.
박원순 시장은 지난해초 사업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경제성이 낮아, 재정부담이 우려된다는 게 이유.
하지만, 오늘은 판단이 달랐습니다.
<인터뷰> 박원순(서울시장) : "굉장히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충분한 타당성 엄밀히 지시. 경전철이 가장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아무도부인못해."
사업비는 8조 5000억원.
노선은 오히려 2곳 늘고 사업비도 60% 이상 올랐습니다.
절반 가량을 민자로 유치하고 운영도 민간에 맡길 예정이지만, 시비도 3조원 이상 들어갑니다.
노선 대부분이 지하로 건설되고...
기본요금을 1050원으로 못박은 것도 재정 부담요인.
민간사업자의 요구 요금은 기본요금보다 높은데, 그 차액을 고스란히 시비로 보전해주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매년 5백억원대로 추정됩니다.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게 서울시 주장.
<인터뷰> 윤준병(도서교통본부장) : "시민의 (요금)부담을 줄이면서 가는 내용이기 때문에 총량적으로 보면 시민의 편익이 더 늘어나는 구좁니다."
하지만 26조원대 적자의 서울시 재정으론 감당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권오인(경실련 국책사업감시팀장) : "용역보고서 결과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서울시의 일방적인 주장이기 때문에 검증작업이 시민사회에서 이뤄져야지 이 사업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부족 재원을 경전철 노선과 겹치는 버스 노선을 줄여 일부 충당하기로 한 것도 벌써부터 논란거립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서울 경전철 재추진…재정 부담은?
-
- 입력 2013-07-24 21:40:28
- 수정2013-07-25 07:48:01

<앵커 멘트>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직후 원점에서 재검토했던 서울 경전철 노선이 확정됐습니다. 모두9갠데요.
기존 계획과 비교해보면 DMC선이 취소되는 대신 난곡선이 추가됐고 신림선은 서부선과 연결돼 여의도를 거쳐 서남 서북권을 오갈수 있게됐습니다.
또 동북선과 우이신설선 서부선은 길이를 더 늘려 인근 지하철을 갈아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정부가 계획중인 위례신사선과 위례선까지 모두 85KM에이릅니다.
주로 지하철 역세권에서 벗어난 철도 취약 지역에 위치합니다.
이렇게 해서 시내 어디서든 걸어서 10분안에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게 서울시 계획인데요.
하지만 앞선 경전철 사업들이 지방재정을 파탄시키는 애물단지가 됐듯이 서울시도 이런 우려는 없는지 우한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경전철 사업을 들고 나온 건 오세훈 전 시장 때인 2008년.
박원순 시장은 지난해초 사업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경제성이 낮아, 재정부담이 우려된다는 게 이유.
하지만, 오늘은 판단이 달랐습니다.
<인터뷰> 박원순(서울시장) : "굉장히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충분한 타당성 엄밀히 지시. 경전철이 가장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아무도부인못해."
사업비는 8조 5000억원.
노선은 오히려 2곳 늘고 사업비도 60% 이상 올랐습니다.
절반 가량을 민자로 유치하고 운영도 민간에 맡길 예정이지만, 시비도 3조원 이상 들어갑니다.
노선 대부분이 지하로 건설되고...
기본요금을 1050원으로 못박은 것도 재정 부담요인.
민간사업자의 요구 요금은 기본요금보다 높은데, 그 차액을 고스란히 시비로 보전해주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매년 5백억원대로 추정됩니다.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게 서울시 주장.
<인터뷰> 윤준병(도서교통본부장) : "시민의 (요금)부담을 줄이면서 가는 내용이기 때문에 총량적으로 보면 시민의 편익이 더 늘어나는 구좁니다."
하지만 26조원대 적자의 서울시 재정으론 감당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권오인(경실련 국책사업감시팀장) : "용역보고서 결과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서울시의 일방적인 주장이기 때문에 검증작업이 시민사회에서 이뤄져야지 이 사업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부족 재원을 경전철 노선과 겹치는 버스 노선을 줄여 일부 충당하기로 한 것도 벌써부터 논란거립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취임직후 원점에서 재검토했던 서울 경전철 노선이 확정됐습니다. 모두9갠데요.
기존 계획과 비교해보면 DMC선이 취소되는 대신 난곡선이 추가됐고 신림선은 서부선과 연결돼 여의도를 거쳐 서남 서북권을 오갈수 있게됐습니다.
또 동북선과 우이신설선 서부선은 길이를 더 늘려 인근 지하철을 갈아탈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정부가 계획중인 위례신사선과 위례선까지 모두 85KM에이릅니다.
주로 지하철 역세권에서 벗어난 철도 취약 지역에 위치합니다.
이렇게 해서 시내 어디서든 걸어서 10분안에 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게 서울시 계획인데요.
하지만 앞선 경전철 사업들이 지방재정을 파탄시키는 애물단지가 됐듯이 서울시도 이런 우려는 없는지 우한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경전철 사업을 들고 나온 건 오세훈 전 시장 때인 2008년.
박원순 시장은 지난해초 사업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경제성이 낮아, 재정부담이 우려된다는 게 이유.
하지만, 오늘은 판단이 달랐습니다.
<인터뷰> 박원순(서울시장) : "굉장히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충분한 타당성 엄밀히 지시. 경전철이 가장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아무도부인못해."
사업비는 8조 5000억원.
노선은 오히려 2곳 늘고 사업비도 60% 이상 올랐습니다.
절반 가량을 민자로 유치하고 운영도 민간에 맡길 예정이지만, 시비도 3조원 이상 들어갑니다.
노선 대부분이 지하로 건설되고...
기본요금을 1050원으로 못박은 것도 재정 부담요인.
민간사업자의 요구 요금은 기본요금보다 높은데, 그 차액을 고스란히 시비로 보전해주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매년 5백억원대로 추정됩니다.
사업성이 충분하다는 게 서울시 주장.
<인터뷰> 윤준병(도서교통본부장) : "시민의 (요금)부담을 줄이면서 가는 내용이기 때문에 총량적으로 보면 시민의 편익이 더 늘어나는 구좁니다."
하지만 26조원대 적자의 서울시 재정으론 감당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권오인(경실련 국책사업감시팀장) : "용역보고서 결과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서울시의 일방적인 주장이기 때문에 검증작업이 시민사회에서 이뤄져야지 이 사업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부족 재원을 경전철 노선과 겹치는 버스 노선을 줄여 일부 충당하기로 한 것도 벌써부터 논란거립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