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참전 노르웨이 의료진 62년 만에 상봉
입력 2013.07.25 (21:24)
수정 2013.07.25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국전쟁에 파병돼 수많은 부상자들의 목숨을 구한 노르웨이 군병원 참전 군인들이 오랜만에 한국을 찾았습니다.
당시 노르웨이 병원이 있던 자리엔 참전 기념비가 세워졌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61년 전 전쟁터에 임시로 만들어진 이동외과병원에서 만났던 노르웨이 간호장교와 한국인 참전용사.
백발의 노인이 돼 다시 만났습니다.
<녹취> 권순선(참전용사) : "그 사랑을 죽기 전까지 잊지 못합니다."
94살 간호장교가 77살 참전용사의 뺨과 손을 어루만지며 건강을 확인합니다.
<녹취> 거드 엘리사 셈브(노르웨이 간호장교) : "여기서 환자분을 만나다니 정말 기쁩니다."
한국전쟁 당시 16살이던 권순선 씨는 지뢰 폭발로 얼굴을 크게 다쳐 노르웨이 군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권순선 : "노르웨이 간호장교들이 얼마나 사랑을 베푸는지 (자기) 애들 같이 따뜻하게 대해주고. 마음 한 구석에 지금도 남아있죠."
노르웨이 의료진은 1951년 참전해 4년 동안 아군과 적군,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9만여 명의 부상자들을 치료했습니다.
한 참전 용사는 그때 배운 우리 노래를 아직도 기억합니다.
<녹취> 아베 에드바트 파에레(참전 군인)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양국 참전 용사들의 만남은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이 있던 자리에 참전기념비가 세워지면서 이뤄졌습니다.
노르웨이 의료진이 전쟁 속에서 베푼 인술은 고난을 겪던 우리 참전 용사와 주민들에게 큰 희망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한국전쟁에 파병돼 수많은 부상자들의 목숨을 구한 노르웨이 군병원 참전 군인들이 오랜만에 한국을 찾았습니다.
당시 노르웨이 병원이 있던 자리엔 참전 기념비가 세워졌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61년 전 전쟁터에 임시로 만들어진 이동외과병원에서 만났던 노르웨이 간호장교와 한국인 참전용사.
백발의 노인이 돼 다시 만났습니다.
<녹취> 권순선(참전용사) : "그 사랑을 죽기 전까지 잊지 못합니다."
94살 간호장교가 77살 참전용사의 뺨과 손을 어루만지며 건강을 확인합니다.
<녹취> 거드 엘리사 셈브(노르웨이 간호장교) : "여기서 환자분을 만나다니 정말 기쁩니다."
한국전쟁 당시 16살이던 권순선 씨는 지뢰 폭발로 얼굴을 크게 다쳐 노르웨이 군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권순선 : "노르웨이 간호장교들이 얼마나 사랑을 베푸는지 (자기) 애들 같이 따뜻하게 대해주고. 마음 한 구석에 지금도 남아있죠."
노르웨이 의료진은 1951년 참전해 4년 동안 아군과 적군,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9만여 명의 부상자들을 치료했습니다.
한 참전 용사는 그때 배운 우리 노래를 아직도 기억합니다.
<녹취> 아베 에드바트 파에레(참전 군인)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양국 참전 용사들의 만남은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이 있던 자리에 참전기념비가 세워지면서 이뤄졌습니다.
노르웨이 의료진이 전쟁 속에서 베푼 인술은 고난을 겪던 우리 참전 용사와 주민들에게 큰 희망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25 참전 노르웨이 의료진 62년 만에 상봉
-
- 입력 2013-07-25 21:25:38
- 수정2013-07-25 22:01:03

<앵커 멘트>
한국전쟁에 파병돼 수많은 부상자들의 목숨을 구한 노르웨이 군병원 참전 군인들이 오랜만에 한국을 찾았습니다.
당시 노르웨이 병원이 있던 자리엔 참전 기념비가 세워졌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61년 전 전쟁터에 임시로 만들어진 이동외과병원에서 만났던 노르웨이 간호장교와 한국인 참전용사.
백발의 노인이 돼 다시 만났습니다.
<녹취> 권순선(참전용사) : "그 사랑을 죽기 전까지 잊지 못합니다."
94살 간호장교가 77살 참전용사의 뺨과 손을 어루만지며 건강을 확인합니다.
<녹취> 거드 엘리사 셈브(노르웨이 간호장교) : "여기서 환자분을 만나다니 정말 기쁩니다."
한국전쟁 당시 16살이던 권순선 씨는 지뢰 폭발로 얼굴을 크게 다쳐 노르웨이 군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권순선 : "노르웨이 간호장교들이 얼마나 사랑을 베푸는지 (자기) 애들 같이 따뜻하게 대해주고. 마음 한 구석에 지금도 남아있죠."
노르웨이 의료진은 1951년 참전해 4년 동안 아군과 적군,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9만여 명의 부상자들을 치료했습니다.
한 참전 용사는 그때 배운 우리 노래를 아직도 기억합니다.
<녹취> 아베 에드바트 파에레(참전 군인)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양국 참전 용사들의 만남은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이 있던 자리에 참전기념비가 세워지면서 이뤄졌습니다.
노르웨이 의료진이 전쟁 속에서 베푼 인술은 고난을 겪던 우리 참전 용사와 주민들에게 큰 희망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한국전쟁에 파병돼 수많은 부상자들의 목숨을 구한 노르웨이 군병원 참전 군인들이 오랜만에 한국을 찾았습니다.
당시 노르웨이 병원이 있던 자리엔 참전 기념비가 세워졌습니다.
송형국 기자입니다.
<리포트>
61년 전 전쟁터에 임시로 만들어진 이동외과병원에서 만났던 노르웨이 간호장교와 한국인 참전용사.
백발의 노인이 돼 다시 만났습니다.
<녹취> 권순선(참전용사) : "그 사랑을 죽기 전까지 잊지 못합니다."
94살 간호장교가 77살 참전용사의 뺨과 손을 어루만지며 건강을 확인합니다.
<녹취> 거드 엘리사 셈브(노르웨이 간호장교) : "여기서 환자분을 만나다니 정말 기쁩니다."
한국전쟁 당시 16살이던 권순선 씨는 지뢰 폭발로 얼굴을 크게 다쳐 노르웨이 군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권순선 : "노르웨이 간호장교들이 얼마나 사랑을 베푸는지 (자기) 애들 같이 따뜻하게 대해주고. 마음 한 구석에 지금도 남아있죠."
노르웨이 의료진은 1951년 참전해 4년 동안 아군과 적군, 민간인을 가리지 않고 9만여 명의 부상자들을 치료했습니다.
한 참전 용사는 그때 배운 우리 노래를 아직도 기억합니다.
<녹취> 아베 에드바트 파에레(참전 군인)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양국 참전 용사들의 만남은 노르웨이 육군 이동외과병원이 있던 자리에 참전기념비가 세워지면서 이뤄졌습니다.
노르웨이 의료진이 전쟁 속에서 베푼 인술은 고난을 겪던 우리 참전 용사와 주민들에게 큰 희망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