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한류 주역 안무가 ‘열악한 처우’
입력 2013.07.25 (21:33)
수정 2013.07.25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방금 보신 것처럼 안무가들은 K팝 한류의 숨은 주역이라는 자부심 속에 밤마다 연습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처우에다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이 이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같은 동작을 반복하길 몇 차례. 무대에 서기 전까지 하나의 춤을 수백 번은 연습합니다.
<녹취> "오케이. 잘했어. 다시 한 번만 해보자."
신곡이 나올 때마다 안무를 짜기 위해 의견을 나누고 동작을 맞춰보는 과정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녹취> "이렇게 내려가는 느낌이 더 나을 것 같은데"
이런 과정을 한 달은 거쳐야 노래 한 곡의 안무가 완성됩니다.
<녹취> "더 많이 가야 돼. 더 많이."
만든 안무를 가수들에게 가르치는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연습실에서 하루 꼬박 12시간을 보내기 일쑵니다.
가수들의 방송 무대가 있는 날. 3~4분 남짓한 짧은 공연이지만 전날은 새벽까지 연습에 몰두합니다.
<인터뷰> 배완희(안무가) : "밤을 새고 오는 친구들도 있고, 대부분 2~3시간 정도 자고 아침에 나와서…"
하지만, 박수도 환호도 이들의 몫은 아닙니다.
노력에 대한 보상은 출연료 7만 원과 무대에 섰다는 보람뿐입니다.
'말춤'과 같은 세계적인 안무를 만들어도 안무비는 300~400만 원 정도로 고정돼 있고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합니다.
<인터뷰> 전홍복(안무가) : "음악은 저작권이 있다. 예술로 봐주시고. 댄서들이 춤을 추는 건 작품으로 안 봐주시고. 그런 시선이 안타까운 거죠."
한류의 숨은 조력자인 안무가들. 합당한 경제적 보상과 함께 이들을 '프로 제작자'로 대접할 때 한류의 뿌리도 더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방금 보신 것처럼 안무가들은 K팝 한류의 숨은 주역이라는 자부심 속에 밤마다 연습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처우에다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이 이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같은 동작을 반복하길 몇 차례. 무대에 서기 전까지 하나의 춤을 수백 번은 연습합니다.
<녹취> "오케이. 잘했어. 다시 한 번만 해보자."
신곡이 나올 때마다 안무를 짜기 위해 의견을 나누고 동작을 맞춰보는 과정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녹취> "이렇게 내려가는 느낌이 더 나을 것 같은데"
이런 과정을 한 달은 거쳐야 노래 한 곡의 안무가 완성됩니다.
<녹취> "더 많이 가야 돼. 더 많이."
만든 안무를 가수들에게 가르치는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연습실에서 하루 꼬박 12시간을 보내기 일쑵니다.
가수들의 방송 무대가 있는 날. 3~4분 남짓한 짧은 공연이지만 전날은 새벽까지 연습에 몰두합니다.
<인터뷰> 배완희(안무가) : "밤을 새고 오는 친구들도 있고, 대부분 2~3시간 정도 자고 아침에 나와서…"
하지만, 박수도 환호도 이들의 몫은 아닙니다.
노력에 대한 보상은 출연료 7만 원과 무대에 섰다는 보람뿐입니다.
'말춤'과 같은 세계적인 안무를 만들어도 안무비는 300~400만 원 정도로 고정돼 있고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합니다.
<인터뷰> 전홍복(안무가) : "음악은 저작권이 있다. 예술로 봐주시고. 댄서들이 춤을 추는 건 작품으로 안 봐주시고. 그런 시선이 안타까운 거죠."
한류의 숨은 조력자인 안무가들. 합당한 경제적 보상과 함께 이들을 '프로 제작자'로 대접할 때 한류의 뿌리도 더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숨은 한류 주역 안무가 ‘열악한 처우’
-
- 입력 2013-07-25 21:34:41
- 수정2013-07-25 22:20:40

<앵커 멘트>
방금 보신 것처럼 안무가들은 K팝 한류의 숨은 주역이라는 자부심 속에 밤마다 연습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처우에다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이 이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같은 동작을 반복하길 몇 차례. 무대에 서기 전까지 하나의 춤을 수백 번은 연습합니다.
<녹취> "오케이. 잘했어. 다시 한 번만 해보자."
신곡이 나올 때마다 안무를 짜기 위해 의견을 나누고 동작을 맞춰보는 과정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녹취> "이렇게 내려가는 느낌이 더 나을 것 같은데"
이런 과정을 한 달은 거쳐야 노래 한 곡의 안무가 완성됩니다.
<녹취> "더 많이 가야 돼. 더 많이."
만든 안무를 가수들에게 가르치는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연습실에서 하루 꼬박 12시간을 보내기 일쑵니다.
가수들의 방송 무대가 있는 날. 3~4분 남짓한 짧은 공연이지만 전날은 새벽까지 연습에 몰두합니다.
<인터뷰> 배완희(안무가) : "밤을 새고 오는 친구들도 있고, 대부분 2~3시간 정도 자고 아침에 나와서…"
하지만, 박수도 환호도 이들의 몫은 아닙니다.
노력에 대한 보상은 출연료 7만 원과 무대에 섰다는 보람뿐입니다.
'말춤'과 같은 세계적인 안무를 만들어도 안무비는 300~400만 원 정도로 고정돼 있고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합니다.
<인터뷰> 전홍복(안무가) : "음악은 저작권이 있다. 예술로 봐주시고. 댄서들이 춤을 추는 건 작품으로 안 봐주시고. 그런 시선이 안타까운 거죠."
한류의 숨은 조력자인 안무가들. 합당한 경제적 보상과 함께 이들을 '프로 제작자'로 대접할 때 한류의 뿌리도 더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방금 보신 것처럼 안무가들은 K팝 한류의 숨은 주역이라는 자부심 속에 밤마다 연습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낮은 처우에다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이 이들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같은 동작을 반복하길 몇 차례. 무대에 서기 전까지 하나의 춤을 수백 번은 연습합니다.
<녹취> "오케이. 잘했어. 다시 한 번만 해보자."
신곡이 나올 때마다 안무를 짜기 위해 의견을 나누고 동작을 맞춰보는 과정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녹취> "이렇게 내려가는 느낌이 더 나을 것 같은데"
이런 과정을 한 달은 거쳐야 노래 한 곡의 안무가 완성됩니다.
<녹취> "더 많이 가야 돼. 더 많이."
만든 안무를 가수들에게 가르치는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연습실에서 하루 꼬박 12시간을 보내기 일쑵니다.
가수들의 방송 무대가 있는 날. 3~4분 남짓한 짧은 공연이지만 전날은 새벽까지 연습에 몰두합니다.
<인터뷰> 배완희(안무가) : "밤을 새고 오는 친구들도 있고, 대부분 2~3시간 정도 자고 아침에 나와서…"
하지만, 박수도 환호도 이들의 몫은 아닙니다.
노력에 대한 보상은 출연료 7만 원과 무대에 섰다는 보람뿐입니다.
'말춤'과 같은 세계적인 안무를 만들어도 안무비는 300~400만 원 정도로 고정돼 있고 저작권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합니다.
<인터뷰> 전홍복(안무가) : "음악은 저작권이 있다. 예술로 봐주시고. 댄서들이 춤을 추는 건 작품으로 안 봐주시고. 그런 시선이 안타까운 거죠."
한류의 숨은 조력자인 안무가들. 합당한 경제적 보상과 함께 이들을 '프로 제작자'로 대접할 때 한류의 뿌리도 더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
조태흠 기자 jotem@kbs.co.kr
조태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