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부, 한미 방위비 분담 “공평의 관점서 바로 잡아야”
입력 2018.01.31 (06:05)
수정 2018.01.31 (07: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 국방부가 한미 방위비 분담과 관련해 공평의 관점에서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미국이 더 많은 분담금을 요구할 게 분명해 보입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공평이라는 관점에서 현실을 고려할 때 눈금을 다시 맞춰 바로잡아야 한다."
콜비 미 국방부 부차관보가 국방전략 브리핑에서 한미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 이 같이 말했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1950년 한국의 1인당 GDP는 2달러였지만, 지금은 전세계에서 가장 발전되고 수준 높은 나라 중 하나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GDP의 3% 이상을 방위비에 쓰고 있고 자국의 이익 못지 않게 해외 병력 지원과 동맹국 방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미국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고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동맹과 협력국들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콜비 부차관보는 한국이 이미 방위비를 꽤 많이 지출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
앞서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들을 위해 불균형적인 방위비 분담을 해 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지난 19일 :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와 협력 국가들의 경제력 성장은 그들이 많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합니다."]
한미 방위비 분담협상을 앞두고 나온 이같은 발언들은 미국의 강한 압박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은 2006년 6천804억 원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2016년에는 9천441억 원을 부담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미 국방부가 한미 방위비 분담과 관련해 공평의 관점에서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미국이 더 많은 분담금을 요구할 게 분명해 보입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공평이라는 관점에서 현실을 고려할 때 눈금을 다시 맞춰 바로잡아야 한다."
콜비 미 국방부 부차관보가 국방전략 브리핑에서 한미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 이 같이 말했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1950년 한국의 1인당 GDP는 2달러였지만, 지금은 전세계에서 가장 발전되고 수준 높은 나라 중 하나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GDP의 3% 이상을 방위비에 쓰고 있고 자국의 이익 못지 않게 해외 병력 지원과 동맹국 방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미국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고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동맹과 협력국들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콜비 부차관보는 한국이 이미 방위비를 꽤 많이 지출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
앞서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들을 위해 불균형적인 방위비 분담을 해 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지난 19일 :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와 협력 국가들의 경제력 성장은 그들이 많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합니다."]
한미 방위비 분담협상을 앞두고 나온 이같은 발언들은 미국의 강한 압박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은 2006년 6천804억 원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2016년에는 9천441억 원을 부담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국방부, 한미 방위비 분담 “공평의 관점서 바로 잡아야”
-
- 입력 2018-01-31 06:07:47
- 수정2018-01-31 07:46:29

[앵커]
미 국방부가 한미 방위비 분담과 관련해 공평의 관점에서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미국이 더 많은 분담금을 요구할 게 분명해 보입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공평이라는 관점에서 현실을 고려할 때 눈금을 다시 맞춰 바로잡아야 한다."
콜비 미 국방부 부차관보가 국방전략 브리핑에서 한미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 이 같이 말했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1950년 한국의 1인당 GDP는 2달러였지만, 지금은 전세계에서 가장 발전되고 수준 높은 나라 중 하나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GDP의 3% 이상을 방위비에 쓰고 있고 자국의 이익 못지 않게 해외 병력 지원과 동맹국 방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미국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고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동맹과 협력국들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콜비 부차관보는 한국이 이미 방위비를 꽤 많이 지출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
앞서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들을 위해 불균형적인 방위비 분담을 해 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지난 19일 :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와 협력 국가들의 경제력 성장은 그들이 많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합니다."]
한미 방위비 분담협상을 앞두고 나온 이같은 발언들은 미국의 강한 압박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은 2006년 6천804억 원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2016년에는 9천441억 원을 부담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미 국방부가 한미 방위비 분담과 관련해 공평의 관점에서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조만간 한미 방위비 분담 협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미국이 더 많은 분담금을 요구할 게 분명해 보입니다.
워싱턴 이재원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공평이라는 관점에서 현실을 고려할 때 눈금을 다시 맞춰 바로잡아야 한다."
콜비 미 국방부 부차관보가 국방전략 브리핑에서 한미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해 이 같이 말했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1950년 한국의 1인당 GDP는 2달러였지만, 지금은 전세계에서 가장 발전되고 수준 높은 나라 중 하나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GDP의 3% 이상을 방위비에 쓰고 있고 자국의 이익 못지 않게 해외 병력 지원과 동맹국 방위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콜비 부차관보는 미국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고 이를 해결할 수 있지만 동맹과 협력국들이 더 많은 돈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콜비 부차관보는 한국이 이미 방위비를 꽤 많이 지출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
앞서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미국은 2차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들을 위해 불균형적인 방위비 분담을 해 왔다고 지적했습니다.
[매티스/美 국방장관/지난 19일 : "오늘날 민주주의 국가와 협력 국가들의 경제력 성장은 그들이 많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합니다."]
한미 방위비 분담협상을 앞두고 나온 이같은 발언들은 미국의 강한 압박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은 2006년 6천804억 원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해 왔으며 2016년에는 9천441억 원을 부담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
이재원 기자 ljw@kbs.co.kr
이재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