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0년 역사, 전쟁·혁명도 버텼는데…전 세계 탄식
입력 2019.04.16 (21:25)
수정 2019.04.17 (09: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를 넘어 유럽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져온 곳인데요.
숱한 시련에도 8백 년 넘게 굳건했던 문화 유산이 왜 이렇게 맥없이 불에 타 버린걸까요?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불이 난지 한 시간이 지나 건물의 상징 같은 첨탑이 무너졌을 때, 성당을 휘감은 화염은 이미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이었습니다.
지붕 전체로 번져 곳곳이 붕괴되던 상황.
안에선, 중세문화를 대표하는 고딕양식의 구조물과 문양들이 불쏘시개가 돼 활활 타올랐습니다.
8백년도 더 지난 나무들입니다.
[짐 불락/소방 전문가/CNN 인터뷰 : "오래된 나무는 말라 있고 불에 빨리 타버립니다. 성당 안에는 이런 나무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건물 자체가 주저앉을 것을 우려해, 불 끄기는 극도로 신중히 진행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공중 살수'를 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소방대원 4백 명은 이미 불이 붙어 있던 지점보다는 더 번지는 것을 막는데 주력했고, 남탑과 북탑, 파사드 등 건물 반대편과 유물 일부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파트리크 쇼베/노트르담 대성당 주임 신부 : "가시면류관과 루이 9세 의상 등 주요 유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겼습니다."]
가까스로 건물 전체가 타버리는 상황은 면했지만, 1,345년 완공 뒤 온갖 전쟁과 혁명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켜온 성당은 크게 훼손됐습니다.
[앤드류 크롬프스톤/영국 리버풀대 교수 : "운이 좋으면 레이저로 건물을 스캔해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론 '복원'일 뿐, 같은 건물일 수는 없습니다."]
시민들, 관광객들은 850년이 넘은 세계문화 유산이 훼손된 것을 안타까워했습니다.
교황청과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안타까움을 표했고 프랑스의 주요 기업들은 벌써 수천억 원의 복원 기금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를 넘어 유럽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져온 곳인데요.
숱한 시련에도 8백 년 넘게 굳건했던 문화 유산이 왜 이렇게 맥없이 불에 타 버린걸까요?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불이 난지 한 시간이 지나 건물의 상징 같은 첨탑이 무너졌을 때, 성당을 휘감은 화염은 이미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이었습니다.
지붕 전체로 번져 곳곳이 붕괴되던 상황.
안에선, 중세문화를 대표하는 고딕양식의 구조물과 문양들이 불쏘시개가 돼 활활 타올랐습니다.
8백년도 더 지난 나무들입니다.
[짐 불락/소방 전문가/CNN 인터뷰 : "오래된 나무는 말라 있고 불에 빨리 타버립니다. 성당 안에는 이런 나무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건물 자체가 주저앉을 것을 우려해, 불 끄기는 극도로 신중히 진행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공중 살수'를 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소방대원 4백 명은 이미 불이 붙어 있던 지점보다는 더 번지는 것을 막는데 주력했고, 남탑과 북탑, 파사드 등 건물 반대편과 유물 일부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파트리크 쇼베/노트르담 대성당 주임 신부 : "가시면류관과 루이 9세 의상 등 주요 유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겼습니다."]
가까스로 건물 전체가 타버리는 상황은 면했지만, 1,345년 완공 뒤 온갖 전쟁과 혁명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켜온 성당은 크게 훼손됐습니다.
[앤드류 크롬프스톤/영국 리버풀대 교수 : "운이 좋으면 레이저로 건물을 스캔해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론 '복원'일 뿐, 같은 건물일 수는 없습니다."]
시민들, 관광객들은 850년이 넘은 세계문화 유산이 훼손된 것을 안타까워했습니다.
교황청과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안타까움을 표했고 프랑스의 주요 기업들은 벌써 수천억 원의 복원 기금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50년 역사, 전쟁·혁명도 버텼는데…전 세계 탄식
-
- 입력 2019-04-16 21:27:29
- 수정2019-04-17 09:03:51

[앵커]
노트르담 대성당은 프랑스를 넘어 유럽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져온 곳인데요.
숱한 시련에도 8백 년 넘게 굳건했던 문화 유산이 왜 이렇게 맥없이 불에 타 버린걸까요?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불이 난지 한 시간이 지나 건물의 상징 같은 첨탑이 무너졌을 때, 성당을 휘감은 화염은 이미 손을 쓸 수 없는 지경이었습니다.
지붕 전체로 번져 곳곳이 붕괴되던 상황.
안에선, 중세문화를 대표하는 고딕양식의 구조물과 문양들이 불쏘시개가 돼 활활 타올랐습니다.
8백년도 더 지난 나무들입니다.
[짐 불락/소방 전문가/CNN 인터뷰 : "오래된 나무는 말라 있고 불에 빨리 타버립니다. 성당 안에는 이런 나무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건물 자체가 주저앉을 것을 우려해, 불 끄기는 극도로 신중히 진행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공중 살수'를 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소방대원 4백 명은 이미 불이 붙어 있던 지점보다는 더 번지는 것을 막는데 주력했고, 남탑과 북탑, 파사드 등 건물 반대편과 유물 일부를 지킬 수 있었습니다.
[파트리크 쇼베/노트르담 대성당 주임 신부 : "가시면류관과 루이 9세 의상 등 주요 유물들을 안전한 곳으로 옮겼습니다."]
가까스로 건물 전체가 타버리는 상황은 면했지만, 1,345년 완공 뒤 온갖 전쟁과 혁명 속에서도 굳건히 자리를 지켜온 성당은 크게 훼손됐습니다.
[앤드류 크롬프스톤/영국 리버풀대 교수 : "운이 좋으면 레이저로 건물을 스캔해 복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론 '복원'일 뿐, 같은 건물일 수는 없습니다."]
시민들, 관광객들은 850년이 넘은 세계문화 유산이 훼손된 것을 안타까워했습니다.
교황청과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이 안타까움을 표했고 프랑스의 주요 기업들은 벌써 수천억 원의 복원 기금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
-
송영석 기자 sys@kbs.co.kr
송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