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뒤 첫 방북 승인…국제기구 통해 北 800만 달러 지원
입력 2019.05.18 (06:04)
수정 2019.05.18 (08: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개성공단이 멈춰선 지 3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했습니다.
또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우선 국제기구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습니다.
꽉 막힌 대화의 문을 다시 열겠다는 건데, 북한의 반응이 어떨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2월, 북한의 핵실험으로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거의 몸만 내려온 기업인들.
시설을 점검하겠다며 이들이 제출한 방북 신청을 정부가 9번째 만에 승인했습니다.
[이상민/통일부 대변인 : "우리 국민의 재산권 보호 차원에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하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이 조기에 성사되도록 지원하겠다며, 미국도 우리 정부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실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뒤 열린 지난 10일 한미 워킹그룹회의에서 자산점검을 위한 방북은 대북 제재와 관련없다는 점을 미국에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북한 주민을 위한 구체적인 인도적 지원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2년 전 세계식량계획 등이 추진한 북한 아동, 임산부 영양지원 사업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다가 집행하지 못한 걸 우선 다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식량 지원은 국민 의견 수렴을 거친 뒤 국제기구를 통할 지, 정부가 직접 지원할 지 등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임을출/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북한의 점진적인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고, 한미 또 북미간의 정상회담 모멘텀을 만드는데도 의미있는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북한은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 방침에 대해 근본적 문제들을 뒷전에 밀어놨다며 개성공단 재개 등의 상응조치를 요구해 왔습니다.
다음달 말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과 인도적 지원이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정부가 개성공단이 멈춰선 지 3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했습니다.
또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우선 국제기구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습니다.
꽉 막힌 대화의 문을 다시 열겠다는 건데, 북한의 반응이 어떨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2월, 북한의 핵실험으로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거의 몸만 내려온 기업인들.
시설을 점검하겠다며 이들이 제출한 방북 신청을 정부가 9번째 만에 승인했습니다.
[이상민/통일부 대변인 : "우리 국민의 재산권 보호 차원에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하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이 조기에 성사되도록 지원하겠다며, 미국도 우리 정부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실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뒤 열린 지난 10일 한미 워킹그룹회의에서 자산점검을 위한 방북은 대북 제재와 관련없다는 점을 미국에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북한 주민을 위한 구체적인 인도적 지원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2년 전 세계식량계획 등이 추진한 북한 아동, 임산부 영양지원 사업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다가 집행하지 못한 걸 우선 다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식량 지원은 국민 의견 수렴을 거친 뒤 국제기구를 통할 지, 정부가 직접 지원할 지 등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임을출/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북한의 점진적인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고, 한미 또 북미간의 정상회담 모멘텀을 만드는데도 의미있는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북한은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 방침에 대해 근본적 문제들을 뒷전에 밀어놨다며 개성공단 재개 등의 상응조치를 요구해 왔습니다.
다음달 말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과 인도적 지원이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개성공단 폐쇄 뒤 첫 방북 승인…국제기구 통해 北 800만 달러 지원
-
- 입력 2019-05-18 06:05:30
- 수정2019-05-18 08:54:24

[앵커]
정부가 개성공단이 멈춰선 지 3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했습니다.
또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우선 국제기구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습니다.
꽉 막힌 대화의 문을 다시 열겠다는 건데, 북한의 반응이 어떨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2월, 북한의 핵실험으로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거의 몸만 내려온 기업인들.
시설을 점검하겠다며 이들이 제출한 방북 신청을 정부가 9번째 만에 승인했습니다.
[이상민/통일부 대변인 : "우리 국민의 재산권 보호 차원에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하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이 조기에 성사되도록 지원하겠다며, 미국도 우리 정부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실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뒤 열린 지난 10일 한미 워킹그룹회의에서 자산점검을 위한 방북은 대북 제재와 관련없다는 점을 미국에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북한 주민을 위한 구체적인 인도적 지원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2년 전 세계식량계획 등이 추진한 북한 아동, 임산부 영양지원 사업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다가 집행하지 못한 걸 우선 다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식량 지원은 국민 의견 수렴을 거친 뒤 국제기구를 통할 지, 정부가 직접 지원할 지 등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임을출/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북한의 점진적인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고, 한미 또 북미간의 정상회담 모멘텀을 만드는데도 의미있는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북한은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 방침에 대해 근본적 문제들을 뒷전에 밀어놨다며 개성공단 재개 등의 상응조치를 요구해 왔습니다.
다음달 말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과 인도적 지원이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정부가 개성공단이 멈춰선 지 3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했습니다.
또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우선 국제기구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습니다.
꽉 막힌 대화의 문을 다시 열겠다는 건데, 북한의 반응이 어떨지 주목됩니다.
보도에 유지향 기자입니다.
[리포트]
2016년 2월, 북한의 핵실험으로 개성공단이 폐쇄되면서 거의 몸만 내려온 기업인들.
시설을 점검하겠다며 이들이 제출한 방북 신청을 정부가 9번째 만에 승인했습니다.
[이상민/통일부 대변인 : "우리 국민의 재산권 보호 차원에서 기업인들의 방북을 승인하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이 조기에 성사되도록 지원하겠다며, 미국도 우리 정부 입장을 충분히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실제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뒤 열린 지난 10일 한미 워킹그룹회의에서 자산점검을 위한 방북은 대북 제재와 관련없다는 점을 미국에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북한 주민을 위한 구체적인 인도적 지원 방안도 내놓았습니다.
2년 전 세계식량계획 등이 추진한 북한 아동, 임산부 영양지원 사업에 8백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했다가 집행하지 못한 걸 우선 다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식량 지원은 국민 의견 수렴을 거친 뒤 국제기구를 통할 지, 정부가 직접 지원할 지 등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임을출/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북한의 점진적인 태도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고, 한미 또 북미간의 정상회담 모멘텀을 만드는데도 의미있는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북한은 우리 정부의 인도적 지원 방침에 대해 근본적 문제들을 뒷전에 밀어놨다며 개성공단 재개 등의 상응조치를 요구해 왔습니다.
다음달 말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과 인도적 지원이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