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파’ 김영철까지 가세…연말시한 앞두고 총공세, 왜?
입력 2019.10.28 (06:29)
수정 2019.10.28 (08: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담화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담화를 발표한 사람이 김영철 부위원장이라는 점인데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뒤 2선으로 물러났던 김 부위원장이 다시 전면에 등장한 이유는 뭘까요?
더군다나 이번 담화는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담화를 낸지 사흘만에 나온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의 속내는 뭔지, 이어서 유지향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뒤 김영철은 통일전선부장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
문책성 인사였습니다.
북미 협상의 주도권도 통일전선부에서 외무성으로 넘어갔습니다.
김영철의 주요 직책은 유지됐지만, 위상은 낮아졌고 북미협상에서 배제돼 왔습니다.
그래서 김영철 담화 배경에 더 관심이 모아집니다.
군 출신인 김영철은 대미 강경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흘 전 김계관이 북미 정상 간 친분관계를 강조했다면, 김영철은 북미 '교전관계'까지 언급하며 강한 어조로 미국을 압박했습니다.
두 담화 모두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북한이 비핵화 협상 시한으로 제시한 연말까지 새로운 셈법을 내놓으라는 겁니다.
미국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자 강온 전략을 구사하며 공세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 : "올해 연말까지 대북 제재가 완화되지 않으면 중국과 러시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이 철수하게 됨으로써 북한의 외화수입에 상당히 큰 차질을 빚기 때문에 북한은 연말 시한을 박아놓고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 정상 간 톱다운 방식을 통한 비핵화 합의를 압박하면서도, 향후 북미 관계 악화의 책임을 미국에 전가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재개하기 위한 명분 쌓기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이번 담화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담화를 발표한 사람이 김영철 부위원장이라는 점인데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뒤 2선으로 물러났던 김 부위원장이 다시 전면에 등장한 이유는 뭘까요?
더군다나 이번 담화는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담화를 낸지 사흘만에 나온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의 속내는 뭔지, 이어서 유지향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뒤 김영철은 통일전선부장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
문책성 인사였습니다.
북미 협상의 주도권도 통일전선부에서 외무성으로 넘어갔습니다.
김영철의 주요 직책은 유지됐지만, 위상은 낮아졌고 북미협상에서 배제돼 왔습니다.
그래서 김영철 담화 배경에 더 관심이 모아집니다.
군 출신인 김영철은 대미 강경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흘 전 김계관이 북미 정상 간 친분관계를 강조했다면, 김영철은 북미 '교전관계'까지 언급하며 강한 어조로 미국을 압박했습니다.
두 담화 모두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북한이 비핵화 협상 시한으로 제시한 연말까지 새로운 셈법을 내놓으라는 겁니다.
미국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자 강온 전략을 구사하며 공세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 : "올해 연말까지 대북 제재가 완화되지 않으면 중국과 러시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이 철수하게 됨으로써 북한의 외화수입에 상당히 큰 차질을 빚기 때문에 북한은 연말 시한을 박아놓고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 정상 간 톱다운 방식을 통한 비핵화 합의를 압박하면서도, 향후 북미 관계 악화의 책임을 미국에 전가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재개하기 위한 명분 쌓기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경파’ 김영철까지 가세…연말시한 앞두고 총공세, 왜?
-
- 입력 2019-10-28 06:29:10
- 수정2019-10-28 08:06:06

[앵커]
이번 담화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담화를 발표한 사람이 김영철 부위원장이라는 점인데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뒤 2선으로 물러났던 김 부위원장이 다시 전면에 등장한 이유는 뭘까요?
더군다나 이번 담화는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담화를 낸지 사흘만에 나온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의 속내는 뭔지, 이어서 유지향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뒤 김영철은 통일전선부장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
문책성 인사였습니다.
북미 협상의 주도권도 통일전선부에서 외무성으로 넘어갔습니다.
김영철의 주요 직책은 유지됐지만, 위상은 낮아졌고 북미협상에서 배제돼 왔습니다.
그래서 김영철 담화 배경에 더 관심이 모아집니다.
군 출신인 김영철은 대미 강경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흘 전 김계관이 북미 정상 간 친분관계를 강조했다면, 김영철은 북미 '교전관계'까지 언급하며 강한 어조로 미국을 압박했습니다.
두 담화 모두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북한이 비핵화 협상 시한으로 제시한 연말까지 새로운 셈법을 내놓으라는 겁니다.
미국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자 강온 전략을 구사하며 공세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 : "올해 연말까지 대북 제재가 완화되지 않으면 중국과 러시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이 철수하게 됨으로써 북한의 외화수입에 상당히 큰 차질을 빚기 때문에 북한은 연말 시한을 박아놓고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 정상 간 톱다운 방식을 통한 비핵화 합의를 압박하면서도, 향후 북미 관계 악화의 책임을 미국에 전가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재개하기 위한 명분 쌓기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이번 담화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담화를 발표한 사람이 김영철 부위원장이라는 점인데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결렬 뒤 2선으로 물러났던 김 부위원장이 다시 전면에 등장한 이유는 뭘까요?
더군다나 이번 담화는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담화를 낸지 사흘만에 나온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의 속내는 뭔지, 이어서 유지향 기자가 분석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뒤 김영철은 통일전선부장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
문책성 인사였습니다.
북미 협상의 주도권도 통일전선부에서 외무성으로 넘어갔습니다.
김영철의 주요 직책은 유지됐지만, 위상은 낮아졌고 북미협상에서 배제돼 왔습니다.
그래서 김영철 담화 배경에 더 관심이 모아집니다.
군 출신인 김영철은 대미 강경파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흘 전 김계관이 북미 정상 간 친분관계를 강조했다면, 김영철은 북미 '교전관계'까지 언급하며 강한 어조로 미국을 압박했습니다.
두 담화 모두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북한이 비핵화 협상 시한으로 제시한 연말까지 새로운 셈법을 내놓으라는 겁니다.
미국이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자 강온 전략을 구사하며 공세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 : "올해 연말까지 대북 제재가 완화되지 않으면 중국과 러시아에 파견된 근로자들이 철수하게 됨으로써 북한의 외화수입에 상당히 큰 차질을 빚기 때문에 북한은 연말 시한을 박아놓고서 미국을 압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 정상 간 톱다운 방식을 통한 비핵화 합의를 압박하면서도, 향후 북미 관계 악화의 책임을 미국에 전가하면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재개하기 위한 명분 쌓기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지향입니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