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② 코로나로 달라진 국회? 너도나도 ‘경제’ 외치지만…
입력 2020.05.29 (21:41)
수정 2020.05.29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위기로 팍팍해진 우리 경제는 국회 풍경도 바꿔놨습니다.
경제 문제 해결을 '1호 법안'으로 선택한 데엔 여·야, 진보, 보수의 구분이 없었습니다.
'일자리'와 '소득'이라는 단어, 지역별로도 큰 차이 없이 골고루 등장했습니다.
그런데 계획 중인 경제 '1호 법안', 막상 들여다보면 속내는 제각각입니다.
[권명호/미래통합당 당선인 : "코로나 사태 이런 것들로 인해 어려움도 있고 지금 이럴 때 조선산업에 대한 우리 정부 지원이 좀 강화된다면..."]
[전봉민/ 미래통합당 당선인 : "수도권 쪽에 다 몰려가는 일부들은 지방 쪽으로 내릴 수 있는 방향들을 모색하자는 의미에서..."]
[박정/더불어민주당 당선인 : "정부가 지향하는 게 평화경제잖아요. 7만 명 정도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어요, 경기지역은..."]
지역 현안에 국한된 법안들이 꽤 많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당선인 : "일을 좀 더 하더라도 소득을 올리고 싶다는 생각인데 정부가 강제로 일 못 하게 해버렸지 않습니까?"]
[김승수/미래통합당 당선인 : "의료 산업 쪽에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규제를 좀 풀겠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박수영/미래통합당 당선인 : "노동규제, 환경규제 같은 것들이 기업을 너무 옥죄고 있는데요. 규제를 풀어줘야 일자리가 만들어질 거라..."]
규제부터 풀어달라는 기업인들 요구와 별반 다르지 않은 내용들입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하겠다" "포스트 코로나 산업을 챙기겠다."
아직 구체화된 내용이 없습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기존에도) 선거 이후에는 강자라고 볼 수 있는 대기업 중심의 입법들이 진행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특히 서민들의 살림살이 질 향상이나 소득 격차 해소 같은 경우를 아주 치밀하게 진단을 해야 하거든요."]
선거 당시 내건 공약부터 우선 입법화하겠단 생각으로 읽히지만 국민 부담 줄이는 차별화된 경제 정책이 눈에 띄지 않는 점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라입니다.
경제 문제 해결을 '1호 법안'으로 선택한 데엔 여·야, 진보, 보수의 구분이 없었습니다.
'일자리'와 '소득'이라는 단어, 지역별로도 큰 차이 없이 골고루 등장했습니다.
그런데 계획 중인 경제 '1호 법안', 막상 들여다보면 속내는 제각각입니다.
[권명호/미래통합당 당선인 : "코로나 사태 이런 것들로 인해 어려움도 있고 지금 이럴 때 조선산업에 대한 우리 정부 지원이 좀 강화된다면..."]
[전봉민/ 미래통합당 당선인 : "수도권 쪽에 다 몰려가는 일부들은 지방 쪽으로 내릴 수 있는 방향들을 모색하자는 의미에서..."]
[박정/더불어민주당 당선인 : "정부가 지향하는 게 평화경제잖아요. 7만 명 정도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어요, 경기지역은..."]
지역 현안에 국한된 법안들이 꽤 많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당선인 : "일을 좀 더 하더라도 소득을 올리고 싶다는 생각인데 정부가 강제로 일 못 하게 해버렸지 않습니까?"]
[김승수/미래통합당 당선인 : "의료 산업 쪽에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규제를 좀 풀겠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박수영/미래통합당 당선인 : "노동규제, 환경규제 같은 것들이 기업을 너무 옥죄고 있는데요. 규제를 풀어줘야 일자리가 만들어질 거라..."]
규제부터 풀어달라는 기업인들 요구와 별반 다르지 않은 내용들입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하겠다" "포스트 코로나 산업을 챙기겠다."
아직 구체화된 내용이 없습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기존에도) 선거 이후에는 강자라고 볼 수 있는 대기업 중심의 입법들이 진행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특히 서민들의 살림살이 질 향상이나 소득 격차 해소 같은 경우를 아주 치밀하게 진단을 해야 하거든요."]
선거 당시 내건 공약부터 우선 입법화하겠단 생각으로 읽히지만 국민 부담 줄이는 차별화된 경제 정책이 눈에 띄지 않는 점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1대 국회]② 코로나로 달라진 국회? 너도나도 ‘경제’ 외치지만…
-
- 입력 2020-05-29 21:43:37
- 수정2020-05-29 21:50:20

코로나 위기로 팍팍해진 우리 경제는 국회 풍경도 바꿔놨습니다.
경제 문제 해결을 '1호 법안'으로 선택한 데엔 여·야, 진보, 보수의 구분이 없었습니다.
'일자리'와 '소득'이라는 단어, 지역별로도 큰 차이 없이 골고루 등장했습니다.
그런데 계획 중인 경제 '1호 법안', 막상 들여다보면 속내는 제각각입니다.
[권명호/미래통합당 당선인 : "코로나 사태 이런 것들로 인해 어려움도 있고 지금 이럴 때 조선산업에 대한 우리 정부 지원이 좀 강화된다면..."]
[전봉민/ 미래통합당 당선인 : "수도권 쪽에 다 몰려가는 일부들은 지방 쪽으로 내릴 수 있는 방향들을 모색하자는 의미에서..."]
[박정/더불어민주당 당선인 : "정부가 지향하는 게 평화경제잖아요. 7만 명 정도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어요, 경기지역은..."]
지역 현안에 국한된 법안들이 꽤 많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당선인 : "일을 좀 더 하더라도 소득을 올리고 싶다는 생각인데 정부가 강제로 일 못 하게 해버렸지 않습니까?"]
[김승수/미래통합당 당선인 : "의료 산업 쪽에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규제를 좀 풀겠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박수영/미래통합당 당선인 : "노동규제, 환경규제 같은 것들이 기업을 너무 옥죄고 있는데요. 규제를 풀어줘야 일자리가 만들어질 거라..."]
규제부터 풀어달라는 기업인들 요구와 별반 다르지 않은 내용들입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하겠다" "포스트 코로나 산업을 챙기겠다."
아직 구체화된 내용이 없습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기존에도) 선거 이후에는 강자라고 볼 수 있는 대기업 중심의 입법들이 진행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특히 서민들의 살림살이 질 향상이나 소득 격차 해소 같은 경우를 아주 치밀하게 진단을 해야 하거든요."]
선거 당시 내건 공약부터 우선 입법화하겠단 생각으로 읽히지만 국민 부담 줄이는 차별화된 경제 정책이 눈에 띄지 않는 점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라입니다.
경제 문제 해결을 '1호 법안'으로 선택한 데엔 여·야, 진보, 보수의 구분이 없었습니다.
'일자리'와 '소득'이라는 단어, 지역별로도 큰 차이 없이 골고루 등장했습니다.
그런데 계획 중인 경제 '1호 법안', 막상 들여다보면 속내는 제각각입니다.
[권명호/미래통합당 당선인 : "코로나 사태 이런 것들로 인해 어려움도 있고 지금 이럴 때 조선산업에 대한 우리 정부 지원이 좀 강화된다면..."]
[전봉민/ 미래통합당 당선인 : "수도권 쪽에 다 몰려가는 일부들은 지방 쪽으로 내릴 수 있는 방향들을 모색하자는 의미에서..."]
[박정/더불어민주당 당선인 : "정부가 지향하는 게 평화경제잖아요. 7만 명 정도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어요, 경기지역은..."]
지역 현안에 국한된 법안들이 꽤 많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당선인 : "일을 좀 더 하더라도 소득을 올리고 싶다는 생각인데 정부가 강제로 일 못 하게 해버렸지 않습니까?"]
[김승수/미래통합당 당선인 : "의료 산업 쪽에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서 규제를 좀 풀겠다,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박수영/미래통합당 당선인 : "노동규제, 환경규제 같은 것들이 기업을 너무 옥죄고 있는데요. 규제를 풀어줘야 일자리가 만들어질 거라..."]
규제부터 풀어달라는 기업인들 요구와 별반 다르지 않은 내용들입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지원하겠다" "포스트 코로나 산업을 챙기겠다."
아직 구체화된 내용이 없습니다.
[이광재/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 : "(기존에도) 선거 이후에는 강자라고 볼 수 있는 대기업 중심의 입법들이 진행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특히 서민들의 살림살이 질 향상이나 소득 격차 해소 같은 경우를 아주 치밀하게 진단을 해야 하거든요."]
선거 당시 내건 공약부터 우선 입법화하겠단 생각으로 읽히지만 국민 부담 줄이는 차별화된 경제 정책이 눈에 띄지 않는 점이 아쉽습니다.
KBS 뉴스 김빛이라입니다.
-
-
김빛이라 기자 glory@kbs.co.kr
김빛이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