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4년 만에 타임지 표지에…평화 위한 ‘마지막 제안’
입력 2021.06.24 (21:23)
수정 2021.06.24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미국 '타임'지 표지에 등장했습니다.
2017년 '협상가'라는 제목으로 표지를 장식한 지 4년 2개월 만입니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임기 내 '마지막 시도'를 강조했습니다.
김경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이 타임지 아시아판 7월호 표지를 장식했습니다.
기사 제목은 '마지막 제안'.
"평화를 위한 마지막 시도에 나섰다"는 부제가 붙었습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도 문 대통령의 구상에 협력적이지만, 문제는 '시간'이라고 타임은 분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걸 안다"며 "지금의 평화는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는 취약한 평화"라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면서 '백신 외교'를 대화 수단으로 제시했다고 타임은 전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현지 시각 14일/오스트리아 국빈 방문 시 :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백신 공급을 협력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선 "매우 솔직하고 의욕적이며, 강한 결단력을 보여 줬고, 국제적인 감각도 있다"며 여전한 신뢰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타임은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에 비춰 보면, 이런 변함없는 옹호는 '착각'일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집값 폭등 등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 내의 비판적인 분위기를 전하며 현실은 녹록지 않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 : "문재인 정부 임기 말 북한과의 대화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북한 인권 문제 등 미국 내의 우려 섞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뿐 아니라 최근 여러 차례, 여러 자리에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의 대화 제의에 잇따라 두 차례 선을 그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 조용호/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현석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미국 '타임'지 표지에 등장했습니다.
2017년 '협상가'라는 제목으로 표지를 장식한 지 4년 2개월 만입니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임기 내 '마지막 시도'를 강조했습니다.
김경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이 타임지 아시아판 7월호 표지를 장식했습니다.
기사 제목은 '마지막 제안'.
"평화를 위한 마지막 시도에 나섰다"는 부제가 붙었습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도 문 대통령의 구상에 협력적이지만, 문제는 '시간'이라고 타임은 분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걸 안다"며 "지금의 평화는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는 취약한 평화"라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면서 '백신 외교'를 대화 수단으로 제시했다고 타임은 전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현지 시각 14일/오스트리아 국빈 방문 시 :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백신 공급을 협력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선 "매우 솔직하고 의욕적이며, 강한 결단력을 보여 줬고, 국제적인 감각도 있다"며 여전한 신뢰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타임은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에 비춰 보면, 이런 변함없는 옹호는 '착각'일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집값 폭등 등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 내의 비판적인 분위기를 전하며 현실은 녹록지 않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 : "문재인 정부 임기 말 북한과의 대화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북한 인권 문제 등 미국 내의 우려 섞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뿐 아니라 최근 여러 차례, 여러 자리에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의 대화 제의에 잇따라 두 차례 선을 그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 조용호/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현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文, 4년 만에 타임지 표지에…평화 위한 ‘마지막 제안’
-
- 입력 2021-06-24 21:23:07
- 수정2021-06-24 22:08:14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미국 '타임'지 표지에 등장했습니다.
2017년 '협상가'라는 제목으로 표지를 장식한 지 4년 2개월 만입니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임기 내 '마지막 시도'를 강조했습니다.
김경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이 타임지 아시아판 7월호 표지를 장식했습니다.
기사 제목은 '마지막 제안'.
"평화를 위한 마지막 시도에 나섰다"는 부제가 붙었습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도 문 대통령의 구상에 협력적이지만, 문제는 '시간'이라고 타임은 분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걸 안다"며 "지금의 평화는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는 취약한 평화"라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면서 '백신 외교'를 대화 수단으로 제시했다고 타임은 전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현지 시각 14일/오스트리아 국빈 방문 시 :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백신 공급을 협력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선 "매우 솔직하고 의욕적이며, 강한 결단력을 보여 줬고, 국제적인 감각도 있다"며 여전한 신뢰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타임은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에 비춰 보면, 이런 변함없는 옹호는 '착각'일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집값 폭등 등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 내의 비판적인 분위기를 전하며 현실은 녹록지 않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 : "문재인 정부 임기 말 북한과의 대화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북한 인권 문제 등 미국 내의 우려 섞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뿐 아니라 최근 여러 차례, 여러 자리에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의 대화 제의에 잇따라 두 차례 선을 그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 조용호/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현석
문재인 대통령이 다시 미국 '타임'지 표지에 등장했습니다.
2017년 '협상가'라는 제목으로 표지를 장식한 지 4년 2개월 만입니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임기 내 '마지막 시도'를 강조했습니다.
김경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이 타임지 아시아판 7월호 표지를 장식했습니다.
기사 제목은 '마지막 제안'.
"평화를 위한 마지막 시도에 나섰다"는 부제가 붙었습니다.
미국 바이든 대통령도 문 대통령의 구상에 협력적이지만, 문제는 '시간'이라고 타임은 분석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걸 안다"며 "지금의 평화는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는 취약한 평화"라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소통을 강조하면서 '백신 외교'를 대화 수단으로 제시했다고 타임은 전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현지 시각 14일/오스트리아 국빈 방문 시 :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백신 공급을 협력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선 "매우 솔직하고 의욕적이며, 강한 결단력을 보여 줬고, 국제적인 감각도 있다"며 여전한 신뢰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타임은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에 비춰 보면, 이런 변함없는 옹호는 '착각'일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 집값 폭등 등 국내 정치 상황과 미국 내의 비판적인 분위기를 전하며 현실은 녹록지 않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정성장/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 : "문재인 정부 임기 말 북한과의 대화 노력을 평가하면서도 북한 인권 문제 등 미국 내의 우려 섞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뿐 아니라 최근 여러 차례, 여러 자리에서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의 대화 제의에 잇따라 두 차례 선을 그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촬영기자:윤희진 조용호/영상편집:최정연/그래픽:김현석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