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 원으로 수해 복구? 차라리 폐업합니다”
입력 2022.08.19 (21:30)
수정 2022.08.19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록적인 폭우에 피해를 본 생업 현장에서는 힘겨운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구비용을 마련하기도 힘들고, 정부 지원은 충분치 않아서 차라리 폐업을 생각한다는 소상공인들이 많습니다.
현예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건물 지하로 내려갔더니 바닥엔 진흙이 가득하고, 사무용품들이 뒤엉켜 있습니다.
판매하려고 보관했던 옷들도 지난 8일 폭우로 물에 잠겼습니다.
[A 씨/음성변조 : "냄새가 이미 다 배어있는 상태고, 다 진흙물이기 때문에 팔 수도 없어요."]
내다 버려야 할 옷이 700벌, 원가만 6천만 원이 넘습니다.
어떻게든 사업을 재개해 보려고 서울시의 긴급 복구비를 신청했는데, 한도는, 200만 원이 전부였습니다.
그마저도, 기약이 없습니다.
[A 씨/음성변조 : "조사는 언제 나올 수 있냐 했더니 오래 걸릴 것이다. (긴급 복구비) 200만 원조차도 언제 드릴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바로 옆의 공유 오피스에는 책자와 장난감, 또 다른 오피스에는 화장품과 의약품이 있었습니다.
침수 열흘이 지났지만 손도 못 댄 상탭니다.
불과 6개월 전에 이 공유 오피스를 차린 운영자도 복구할 엄두가 나지 않아 차라리 폐업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공유 오피스 운영자/음성변조 : "인테리어 비용으로 거의 2억 원 이상을 다 투자를 했는데 다 유실돼 버렸거든요. 철거를 하려면 철거 비용이 또 수천만 원 나옵니다."]
침수 피해로 막막해진 건 전통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거리는 어느 정도 정돈됐지만 해결할 문제가 아직 남았습니다.
정부는 원칙적으로, '점포'들에 대한 복구비도 '주택'과 같은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점포엔 고가의 설비들이 많아서, 그 돈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김조현/상인 : "2천만 원짜리 냉동고인데, 그런 걸 교체하고 수리하는 데만 돈 천만 원 들어가는데, (지원금) 2백만 원은 뭐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당장 추석 대목까지 망치게 생겼습니다.
[김기순/상인 : "명절 앞이라 물건들 이제 고기나 이런 것도 살려고 그러면 더 필요한데. 그 대금을 다 이제 이런 거 복구하는 데로 다 나가 있는 상태라 좀 답답한 상태죠."]
피해지역 소상공인들은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추가 지원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현예슬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김형기
기록적인 폭우에 피해를 본 생업 현장에서는 힘겨운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구비용을 마련하기도 힘들고, 정부 지원은 충분치 않아서 차라리 폐업을 생각한다는 소상공인들이 많습니다.
현예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건물 지하로 내려갔더니 바닥엔 진흙이 가득하고, 사무용품들이 뒤엉켜 있습니다.
판매하려고 보관했던 옷들도 지난 8일 폭우로 물에 잠겼습니다.
[A 씨/음성변조 : "냄새가 이미 다 배어있는 상태고, 다 진흙물이기 때문에 팔 수도 없어요."]
내다 버려야 할 옷이 700벌, 원가만 6천만 원이 넘습니다.
어떻게든 사업을 재개해 보려고 서울시의 긴급 복구비를 신청했는데, 한도는, 200만 원이 전부였습니다.
그마저도, 기약이 없습니다.
[A 씨/음성변조 : "조사는 언제 나올 수 있냐 했더니 오래 걸릴 것이다. (긴급 복구비) 200만 원조차도 언제 드릴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바로 옆의 공유 오피스에는 책자와 장난감, 또 다른 오피스에는 화장품과 의약품이 있었습니다.
침수 열흘이 지났지만 손도 못 댄 상탭니다.
불과 6개월 전에 이 공유 오피스를 차린 운영자도 복구할 엄두가 나지 않아 차라리 폐업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공유 오피스 운영자/음성변조 : "인테리어 비용으로 거의 2억 원 이상을 다 투자를 했는데 다 유실돼 버렸거든요. 철거를 하려면 철거 비용이 또 수천만 원 나옵니다."]
침수 피해로 막막해진 건 전통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거리는 어느 정도 정돈됐지만 해결할 문제가 아직 남았습니다.
정부는 원칙적으로, '점포'들에 대한 복구비도 '주택'과 같은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점포엔 고가의 설비들이 많아서, 그 돈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김조현/상인 : "2천만 원짜리 냉동고인데, 그런 걸 교체하고 수리하는 데만 돈 천만 원 들어가는데, (지원금) 2백만 원은 뭐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당장 추석 대목까지 망치게 생겼습니다.
[김기순/상인 : "명절 앞이라 물건들 이제 고기나 이런 것도 살려고 그러면 더 필요한데. 그 대금을 다 이제 이런 거 복구하는 데로 다 나가 있는 상태라 좀 답답한 상태죠."]
피해지역 소상공인들은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추가 지원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현예슬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김형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0만 원으로 수해 복구? 차라리 폐업합니다”
-
- 입력 2022-08-19 21:30:51
- 수정2022-08-19 22:10:06

[앵커]
기록적인 폭우에 피해를 본 생업 현장에서는 힘겨운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구비용을 마련하기도 힘들고, 정부 지원은 충분치 않아서 차라리 폐업을 생각한다는 소상공인들이 많습니다.
현예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건물 지하로 내려갔더니 바닥엔 진흙이 가득하고, 사무용품들이 뒤엉켜 있습니다.
판매하려고 보관했던 옷들도 지난 8일 폭우로 물에 잠겼습니다.
[A 씨/음성변조 : "냄새가 이미 다 배어있는 상태고, 다 진흙물이기 때문에 팔 수도 없어요."]
내다 버려야 할 옷이 700벌, 원가만 6천만 원이 넘습니다.
어떻게든 사업을 재개해 보려고 서울시의 긴급 복구비를 신청했는데, 한도는, 200만 원이 전부였습니다.
그마저도, 기약이 없습니다.
[A 씨/음성변조 : "조사는 언제 나올 수 있냐 했더니 오래 걸릴 것이다. (긴급 복구비) 200만 원조차도 언제 드릴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바로 옆의 공유 오피스에는 책자와 장난감, 또 다른 오피스에는 화장품과 의약품이 있었습니다.
침수 열흘이 지났지만 손도 못 댄 상탭니다.
불과 6개월 전에 이 공유 오피스를 차린 운영자도 복구할 엄두가 나지 않아 차라리 폐업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공유 오피스 운영자/음성변조 : "인테리어 비용으로 거의 2억 원 이상을 다 투자를 했는데 다 유실돼 버렸거든요. 철거를 하려면 철거 비용이 또 수천만 원 나옵니다."]
침수 피해로 막막해진 건 전통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거리는 어느 정도 정돈됐지만 해결할 문제가 아직 남았습니다.
정부는 원칙적으로, '점포'들에 대한 복구비도 '주택'과 같은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점포엔 고가의 설비들이 많아서, 그 돈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김조현/상인 : "2천만 원짜리 냉동고인데, 그런 걸 교체하고 수리하는 데만 돈 천만 원 들어가는데, (지원금) 2백만 원은 뭐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당장 추석 대목까지 망치게 생겼습니다.
[김기순/상인 : "명절 앞이라 물건들 이제 고기나 이런 것도 살려고 그러면 더 필요한데. 그 대금을 다 이제 이런 거 복구하는 데로 다 나가 있는 상태라 좀 답답한 상태죠."]
피해지역 소상공인들은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추가 지원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현예슬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김형기
기록적인 폭우에 피해를 본 생업 현장에서는 힘겨운 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복구비용을 마련하기도 힘들고, 정부 지원은 충분치 않아서 차라리 폐업을 생각한다는 소상공인들이 많습니다.
현예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건물 지하로 내려갔더니 바닥엔 진흙이 가득하고, 사무용품들이 뒤엉켜 있습니다.
판매하려고 보관했던 옷들도 지난 8일 폭우로 물에 잠겼습니다.
[A 씨/음성변조 : "냄새가 이미 다 배어있는 상태고, 다 진흙물이기 때문에 팔 수도 없어요."]
내다 버려야 할 옷이 700벌, 원가만 6천만 원이 넘습니다.
어떻게든 사업을 재개해 보려고 서울시의 긴급 복구비를 신청했는데, 한도는, 200만 원이 전부였습니다.
그마저도, 기약이 없습니다.
[A 씨/음성변조 : "조사는 언제 나올 수 있냐 했더니 오래 걸릴 것이다. (긴급 복구비) 200만 원조차도 언제 드릴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바로 옆의 공유 오피스에는 책자와 장난감, 또 다른 오피스에는 화장품과 의약품이 있었습니다.
침수 열흘이 지났지만 손도 못 댄 상탭니다.
불과 6개월 전에 이 공유 오피스를 차린 운영자도 복구할 엄두가 나지 않아 차라리 폐업하는 쪽으로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공유 오피스 운영자/음성변조 : "인테리어 비용으로 거의 2억 원 이상을 다 투자를 했는데 다 유실돼 버렸거든요. 철거를 하려면 철거 비용이 또 수천만 원 나옵니다."]
침수 피해로 막막해진 건 전통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거리는 어느 정도 정돈됐지만 해결할 문제가 아직 남았습니다.
정부는 원칙적으로, '점포'들에 대한 복구비도 '주택'과 같은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점포엔 고가의 설비들이 많아서, 그 돈으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김조현/상인 : "2천만 원짜리 냉동고인데, 그런 걸 교체하고 수리하는 데만 돈 천만 원 들어가는데, (지원금) 2백만 원은 뭐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당장 추석 대목까지 망치게 생겼습니다.
[김기순/상인 : "명절 앞이라 물건들 이제 고기나 이런 것도 살려고 그러면 더 필요한데. 그 대금을 다 이제 이런 거 복구하는 데로 다 나가 있는 상태라 좀 답답한 상태죠."]
피해지역 소상공인들은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추가 지원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현예슬입니다.
촬영기자:조원준/영상편집:김형기
-
-
현예슬 기자 yesyes@kbs.co.kr
현예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집중호우…피해 속출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