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

입력 2025.03.27 (21:45) 수정 2025.03.27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3일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우리 업계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밖에서 생산되는 수입차에 다음 달 3일부터 25% 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역시 미국 내 생산시설 유치가 가장 큰 목적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미국에서 사업을 하고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미국의 부를 빼앗아 간 것에 대해 비용을 청구할 것입니다."]

백악관은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000억 달러, 우리 돈 147조 원의 재정 수입도 늘어날 걸로 전망했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엔 엔진과 변속기 등 자동차 핵심 부품도 포함됩니다.

관세 때문에 결국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많게는 6천 달러, 우리 돈 900만 원 가까이 오를 거라는 분석도 있지만, 트럼프는 관세가 100% 영구적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임기 내내 계속되는 조치인가요?) 네, 이건 영구적입니다. 100% 확실합니다."]

대미 수출 품목 중 1위가 자동차인 한국엔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

특히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 독일을 콕 집어 "이들 국가가 미국 기업의 해외 자동차 판매 능력을 악화시켰다"고 겨냥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51조 원으로, 한국 자동차의 전체 수출액 중 절반을 미국 수출이 차지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과 목재에 대해서도 곧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

또, 상호 관세는 모든 나라가 대상이라면서 일부 국가에 면제를 줄 수 있는 것처럼 했던 입장을 다시 바꿨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권애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
    • 입력 2025-03-27 21:45:10
    • 수정2025-03-27 22:10:21
    뉴스 9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3일부터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자동차가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우리 업계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밖에서 생산되는 수입차에 다음 달 3일부터 25% 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역시 미국 내 생산시설 유치가 가장 큰 목적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미국에서 사업을 하고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미국의 부를 빼앗아 간 것에 대해 비용을 청구할 것입니다."]

백악관은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000억 달러, 우리 돈 147조 원의 재정 수입도 늘어날 걸로 전망했습니다.

관세 부과 대상엔 엔진과 변속기 등 자동차 핵심 부품도 포함됩니다.

관세 때문에 결국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이 많게는 6천 달러, 우리 돈 900만 원 가까이 오를 거라는 분석도 있지만, 트럼프는 관세가 100% 영구적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임기 내내 계속되는 조치인가요?) 네, 이건 영구적입니다. 100% 확실합니다."]

대미 수출 품목 중 1위가 자동차인 한국엔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

특히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 독일을 콕 집어 "이들 국가가 미국 기업의 해외 자동차 판매 능력을 악화시켰다"고 겨냥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51조 원으로, 한국 자동차의 전체 수출액 중 절반을 미국 수출이 차지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과 목재에 대해서도 곧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했습니다.

또, 상호 관세는 모든 나라가 대상이라면서 일부 국가에 면제를 줄 수 있는 것처럼 했던 입장을 다시 바꿨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그래픽:김지훈/자료조사:권애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