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꽁초 함부로 던졌다가…작은 불씨도 조심
입력 2025.04.02 (10:15)
수정 2025.04.02 (11: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30명이 목숨을 잃는 등 돌이키기 힘든 큰 피해가 났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건조한 시기에는 작은 불씨도 조심해야 하는데,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속도로 갓길에서 빨간 불길과 연기가 치솟습니다.
일대로 번진 불은 나무와 잡목 등을 태우고 30여 분 만에 꺼졌습니다.
지나던 운전자가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입니다.
주류 박스가 쌓여 있던 공간이 불타고, 한 시간여 동안 건물 외벽을 태운 화재도 모두 누군가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목격자 : "이게 불길이 너무 순식간에 바람도 불고하니까 안 잡히더라고요, 소화기로는. 그리고 소방차가 빨리 왔음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불길이 기둥까지..."]
담뱃불의 경우 불꽃이 보이지 않지만 내부에 800도 가까운 숨은 열이 있어 가연물과 만나면 언제든 불로 번질 수 있습니다.
[이상현/대전유성소방서 화재조사관 : "담배를 피우는 필터 부분에 남아 있는 불씨는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재발화하기 쉽고, 불완전 연소의 특성상 장시간 열을 머금고 있어서 시간이 지나서도 발화 위험성이 있습니다."]
요즘처럼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봄철에는 특히 더 위험합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사계절 중 봄철인 3월에서 5월에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 원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담배꽁초 등 부주의 때문이었습니다.
작은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큰 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담배꽁초는 물에 담그거나 비벼서 불씨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최근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30명이 목숨을 잃는 등 돌이키기 힘든 큰 피해가 났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건조한 시기에는 작은 불씨도 조심해야 하는데,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속도로 갓길에서 빨간 불길과 연기가 치솟습니다.
일대로 번진 불은 나무와 잡목 등을 태우고 30여 분 만에 꺼졌습니다.
지나던 운전자가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입니다.
주류 박스가 쌓여 있던 공간이 불타고, 한 시간여 동안 건물 외벽을 태운 화재도 모두 누군가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목격자 : "이게 불길이 너무 순식간에 바람도 불고하니까 안 잡히더라고요, 소화기로는. 그리고 소방차가 빨리 왔음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불길이 기둥까지..."]
담뱃불의 경우 불꽃이 보이지 않지만 내부에 800도 가까운 숨은 열이 있어 가연물과 만나면 언제든 불로 번질 수 있습니다.
[이상현/대전유성소방서 화재조사관 : "담배를 피우는 필터 부분에 남아 있는 불씨는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재발화하기 쉽고, 불완전 연소의 특성상 장시간 열을 머금고 있어서 시간이 지나서도 발화 위험성이 있습니다."]
요즘처럼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봄철에는 특히 더 위험합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사계절 중 봄철인 3월에서 5월에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 원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담배꽁초 등 부주의 때문이었습니다.
작은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큰 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담배꽁초는 물에 담그거나 비벼서 불씨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담배꽁초 함부로 던졌다가…작은 불씨도 조심
-
- 입력 2025-04-02 10:15:28
- 수정2025-04-02 11:43:55

[앵커]
최근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30명이 목숨을 잃는 등 돌이키기 힘든 큰 피해가 났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건조한 시기에는 작은 불씨도 조심해야 하는데,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속도로 갓길에서 빨간 불길과 연기가 치솟습니다.
일대로 번진 불은 나무와 잡목 등을 태우고 30여 분 만에 꺼졌습니다.
지나던 운전자가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입니다.
주류 박스가 쌓여 있던 공간이 불타고, 한 시간여 동안 건물 외벽을 태운 화재도 모두 누군가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목격자 : "이게 불길이 너무 순식간에 바람도 불고하니까 안 잡히더라고요, 소화기로는. 그리고 소방차가 빨리 왔음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불길이 기둥까지..."]
담뱃불의 경우 불꽃이 보이지 않지만 내부에 800도 가까운 숨은 열이 있어 가연물과 만나면 언제든 불로 번질 수 있습니다.
[이상현/대전유성소방서 화재조사관 : "담배를 피우는 필터 부분에 남아 있는 불씨는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재발화하기 쉽고, 불완전 연소의 특성상 장시간 열을 머금고 있어서 시간이 지나서도 발화 위험성이 있습니다."]
요즘처럼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봄철에는 특히 더 위험합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사계절 중 봄철인 3월에서 5월에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 원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담배꽁초 등 부주의 때문이었습니다.
작은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큰 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담배꽁초는 물에 담그거나 비벼서 불씨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최근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30명이 목숨을 잃는 등 돌이키기 힘든 큰 피해가 났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건조한 시기에는 작은 불씨도 조심해야 하는데,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고속도로 갓길에서 빨간 불길과 연기가 치솟습니다.
일대로 번진 불은 나무와 잡목 등을 태우고 30여 분 만에 꺼졌습니다.
지나던 운전자가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입니다.
주류 박스가 쌓여 있던 공간이 불타고, 한 시간여 동안 건물 외벽을 태운 화재도 모두 누군가 무심코 버린 담배꽁초가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목격자 : "이게 불길이 너무 순식간에 바람도 불고하니까 안 잡히더라고요, 소화기로는. 그리고 소방차가 빨리 왔음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불길이 기둥까지..."]
담뱃불의 경우 불꽃이 보이지 않지만 내부에 800도 가까운 숨은 열이 있어 가연물과 만나면 언제든 불로 번질 수 있습니다.
[이상현/대전유성소방서 화재조사관 : "담배를 피우는 필터 부분에 남아 있는 불씨는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재발화하기 쉽고, 불완전 연소의 특성상 장시간 열을 머금고 있어서 시간이 지나서도 발화 위험성이 있습니다."]
요즘처럼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봄철에는 특히 더 위험합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사계절 중 봄철인 3월에서 5월에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 원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담배꽁초 등 부주의 때문이었습니다.
작은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큰 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담배꽁초는 물에 담그거나 비벼서 불씨를 완전히 제거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촬영기자:유민철
-
-
이연경 기자 yglee@kbs.co.kr
이연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