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고려아연 압수수색…유상증자 과정 의혹 수사
입력 2025.04.23 (09:55)
수정 2025.04.23 (1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찰이 유상증자 과정에서 부정거래를 한 혐의를 받는 고려아연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서울남부지검은 오늘(23일) 오전부터 고려아연 본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PC와 서류 등 증거물을 확보 중입니다.
압수수색 대상은 경영진 등의 사무실 6곳과 주거지 5곳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상증자 주관사였던 미래에셋증권의 본사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이 지난해 10월 30일 2조 5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공개매수가 끝나기 전에 유상증자를 계획했음에도 이를 제대로 공시하지 않았다는 의혹으로, 지난 1월 금융감독원이 검찰에 이첩한 사건입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 4일에서 같은 달 23일까지 자사주 공개매수를 진행했습니다.
당시 "공개매수 이후 재무구조 등에 변경을 가져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 않다"고 공시했으나,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이 같은 달 14일부터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 이사회가 자사주를 매수해 소각한 후 유상증자로 상환할 계획을 세웠음에도 공개매수 신고서에 이를 기재하지 않은 것이 부정거래에 해당하는지 들여다본다는 방침입니다.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이후 고려아연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서울남부지검은 오늘(23일) 오전부터 고려아연 본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PC와 서류 등 증거물을 확보 중입니다.
압수수색 대상은 경영진 등의 사무실 6곳과 주거지 5곳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상증자 주관사였던 미래에셋증권의 본사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이 지난해 10월 30일 2조 5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공개매수가 끝나기 전에 유상증자를 계획했음에도 이를 제대로 공시하지 않았다는 의혹으로, 지난 1월 금융감독원이 검찰에 이첩한 사건입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 4일에서 같은 달 23일까지 자사주 공개매수를 진행했습니다.
당시 "공개매수 이후 재무구조 등에 변경을 가져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 않다"고 공시했으나,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이 같은 달 14일부터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 이사회가 자사주를 매수해 소각한 후 유상증자로 상환할 계획을 세웠음에도 공개매수 신고서에 이를 기재하지 않은 것이 부정거래에 해당하는지 들여다본다는 방침입니다.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이후 고려아연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검찰, 고려아연 압수수색…유상증자 과정 의혹 수사
-
- 입력 2025-04-23 09:55:40
- 수정2025-04-23 10:10:12
검찰이 유상증자 과정에서 부정거래를 한 혐의를 받는 고려아연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서울남부지검은 오늘(23일) 오전부터 고려아연 본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PC와 서류 등 증거물을 확보 중입니다.
압수수색 대상은 경영진 등의 사무실 6곳과 주거지 5곳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상증자 주관사였던 미래에셋증권의 본사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이 지난해 10월 30일 2조 5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공개매수가 끝나기 전에 유상증자를 계획했음에도 이를 제대로 공시하지 않았다는 의혹으로, 지난 1월 금융감독원이 검찰에 이첩한 사건입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 4일에서 같은 달 23일까지 자사주 공개매수를 진행했습니다.
당시 "공개매수 이후 재무구조 등에 변경을 가져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 않다"고 공시했으나,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이 같은 달 14일부터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 이사회가 자사주를 매수해 소각한 후 유상증자로 상환할 계획을 세웠음에도 공개매수 신고서에 이를 기재하지 않은 것이 부정거래에 해당하는지 들여다본다는 방침입니다.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이후 고려아연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서울남부지검은 오늘(23일) 오전부터 고려아연 본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PC와 서류 등 증거물을 확보 중입니다.
압수수색 대상은 경영진 등의 사무실 6곳과 주거지 5곳으로 파악됐습니다.
유상증자 주관사였던 미래에셋증권의 본사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이 지난해 10월 30일 2조 5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법을 위반한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습니다.
자사주 공개매수가 끝나기 전에 유상증자를 계획했음에도 이를 제대로 공시하지 않았다는 의혹으로, 지난 1월 금융감독원이 검찰에 이첩한 사건입니다.
고려아연은 지난해 10월 4일에서 같은 달 23일까지 자사주 공개매수를 진행했습니다.
당시 "공개매수 이후 재무구조 등에 변경을 가져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 않다"고 공시했으나,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이 같은 달 14일부터 유상증자를 위한 실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검찰은 고려아연 이사회가 자사주를 매수해 소각한 후 유상증자로 상환할 계획을 세웠음에도 공개매수 신고서에 이를 기재하지 않은 것이 부정거래에 해당하는지 들여다본다는 방침입니다.
경영권 분쟁이 발생한 이후 고려아연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
-
민정희 기자 jj@kbs.co.kr
민정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