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관세’ 하루 만에 또 후퇴?…“불법체류자 자진 출국 시 지원”

입력 2025.05.06 (19:04) 수정 2025.05.06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외국 영화 100%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백악관이 하루 만에 최종 결정이 나지 않았다며 한발 후퇴했습니다.

자동차 관세 정책에 이어 또다시 오락가락 행보가 잇따르면서 혼란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영화도 미국 내에서 만들라며 해외 영화 100% 관세 부과 방침을 강경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

하지만 백악관은 하루 만에 성명을 통해 "모든 방안을 검토 중일 뿐,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또 후퇴하는 모양샌데, 업계 반발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실제, 현지 언론은 블록버스터급 할리우드 영화들이 대부분의 수익을 해외시장에서 벌어들여, 다른 나라가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영화사들이 큰 타격을 입을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영화는 일반적인 수입 관세의 대상이 아니라며 이 정책은 사실상 실현 불가능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눈다는 계획입니다.

직접 정책을 설명하고 조율해 업계가 만족할 수 있도록 하겠단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영화) 업계 관계자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그들도 어떤 면에서는 (해외 제작이) 이점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까요. 저는 이 산업을 해치려는 것이 아니라, 업계에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한편,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미 정부는 자진 출국하는 불법체류자에게 항공권과 함께 천 달러, 우리 돈 140만 원 정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국토안보부는 이 방식으로 불법 체류자가 자진 출국할 경우 미 정부가 추방하는 것보다 70% 적은 비용이 소요될 걸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한꺼번에 막대한 재정 지출이 필요할 수 있고, 재원을 마련할 방안도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한미희/그래픽:채상우/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화 관세’ 하루 만에 또 후퇴?…“불법체류자 자진 출국 시 지원”
    • 입력 2025-05-06 19:04:44
    • 수정2025-05-06 21:49:15
    뉴스 7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외국 영화 100%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백악관이 하루 만에 최종 결정이 나지 않았다며 한발 후퇴했습니다.

자동차 관세 정책에 이어 또다시 오락가락 행보가 잇따르면서 혼란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영화도 미국 내에서 만들라며 해외 영화 100% 관세 부과 방침을 강경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

하지만 백악관은 하루 만에 성명을 통해 "모든 방안을 검토 중일 뿐,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또 후퇴하는 모양샌데, 업계 반발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실제, 현지 언론은 블록버스터급 할리우드 영화들이 대부분의 수익을 해외시장에서 벌어들여, 다른 나라가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영화사들이 큰 타격을 입을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영화는 일반적인 수입 관세의 대상이 아니라며 이 정책은 사실상 실현 불가능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일단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눈다는 계획입니다.

직접 정책을 설명하고 조율해 업계가 만족할 수 있도록 하겠단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영화) 업계 관계자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그들도 어떤 면에서는 (해외 제작이) 이점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니까요. 저는 이 산업을 해치려는 것이 아니라, 업계에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한편, 불법 이민자 추방 정책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미 정부는 자진 출국하는 불법체류자에게 항공권과 함께 천 달러, 우리 돈 140만 원 정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국토안보부는 이 방식으로 불법 체류자가 자진 출국할 경우 미 정부가 추방하는 것보다 70% 적은 비용이 소요될 걸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한꺼번에 막대한 재정 지출이 필요할 수 있고, 재원을 마련할 방안도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한미희/그래픽:채상우/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