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위기…韓 석유화학 올해도 힘들다”
입력 2025.05.12 (22:45)
수정 2025.05.12 (2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중국발 공급 과잉과 세계 수요 둔화 등으로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한 국제 신용평가기관은 한국의 석유 화학 산업이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1분기에 446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비상 경영에 들어간 SK이노베이션.
사장단은 연봉의 최대 30%를 반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간 롯데케미칼은 생산직들을 대상으로 권고사직을 실시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 석유화학 부문에서 565억 원의 영업손실을 입은 LG화학은 여수 공장 사택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업계 노조 관계자 : "조선업계 불황 왔을 때요. 딱 그 정도, 그것보다 지금 더한 수준이라고 봐야 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부진 장기화는 중국발 공급 과잉의 영향이 큽니다.
중국이 자급률 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증설을 단행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타드 앤 푸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에 따른 하락 국면은 향후 2년 안에 벗어나기에는 너무 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현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공급뿐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도 구조적인 위기입니다. 정부와 산업계 모두 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친환경 설비 투자확대와 같은 실질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산업계가 기대를 걸었던 정부의 구조조정 지원책은 탄핵과 조기 대선 정국으로 인해 사실상 중단된 상태여서 업계의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중국발 공급 과잉과 세계 수요 둔화 등으로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한 국제 신용평가기관은 한국의 석유 화학 산업이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1분기에 446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비상 경영에 들어간 SK이노베이션.
사장단은 연봉의 최대 30%를 반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간 롯데케미칼은 생산직들을 대상으로 권고사직을 실시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 석유화학 부문에서 565억 원의 영업손실을 입은 LG화학은 여수 공장 사택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업계 노조 관계자 : "조선업계 불황 왔을 때요. 딱 그 정도, 그것보다 지금 더한 수준이라고 봐야 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부진 장기화는 중국발 공급 과잉의 영향이 큽니다.
중국이 자급률 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증설을 단행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타드 앤 푸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에 따른 하락 국면은 향후 2년 안에 벗어나기에는 너무 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현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공급뿐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도 구조적인 위기입니다. 정부와 산업계 모두 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친환경 설비 투자확대와 같은 실질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산업계가 기대를 걸었던 정부의 구조조정 지원책은 탄핵과 조기 대선 정국으로 인해 사실상 중단된 상태여서 업계의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조적 위기…韓 석유화학 올해도 힘들다”
-
- 입력 2025-05-12 22:45:00
- 수정2025-05-12 22:59:17

[앵커]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중국발 공급 과잉과 세계 수요 둔화 등으로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한 국제 신용평가기관은 한국의 석유 화학 산업이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1분기에 446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비상 경영에 들어간 SK이노베이션.
사장단은 연봉의 최대 30%를 반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간 롯데케미칼은 생산직들을 대상으로 권고사직을 실시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 석유화학 부문에서 565억 원의 영업손실을 입은 LG화학은 여수 공장 사택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업계 노조 관계자 : "조선업계 불황 왔을 때요. 딱 그 정도, 그것보다 지금 더한 수준이라고 봐야 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부진 장기화는 중국발 공급 과잉의 영향이 큽니다.
중국이 자급률 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증설을 단행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타드 앤 푸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에 따른 하락 국면은 향후 2년 안에 벗어나기에는 너무 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현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공급뿐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도 구조적인 위기입니다. 정부와 산업계 모두 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친환경 설비 투자확대와 같은 실질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산업계가 기대를 걸었던 정부의 구조조정 지원책은 탄핵과 조기 대선 정국으로 인해 사실상 중단된 상태여서 업계의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중국발 공급 과잉과 세계 수요 둔화 등으로 구조적인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한 국제 신용평가기관은 한국의 석유 화학 산업이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도에 박중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1분기에 446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비상 경영에 들어간 SK이노베이션.
사장단은 연봉의 최대 30%를 반납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간 롯데케미칼은 생산직들을 대상으로 권고사직을 실시했습니다.
올해 1분기에 석유화학 부문에서 565억 원의 영업손실을 입은 LG화학은 여수 공장 사택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업계 노조 관계자 : "조선업계 불황 왔을 때요. 딱 그 정도, 그것보다 지금 더한 수준이라고 봐야 될 수도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업계의 부진 장기화는 중국발 공급 과잉의 영향이 큽니다.
중국이 자급률 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증설을 단행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 신용평가사인 스탠타드 앤 푸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 석유화학 산업은 올해도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에 따른 하락 국면은 향후 2년 안에 벗어나기에는 너무 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조용원/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현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공급뿐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도 구조적인 위기입니다. 정부와 산업계 모두 산업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친환경 설비 투자확대와 같은 실질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산업계가 기대를 걸었던 정부의 구조조정 지원책은 탄핵과 조기 대선 정국으로 인해 사실상 중단된 상태여서 업계의 시름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
박중관 기자 jkp@kbs.co.kr
박중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