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추모 분위기 고조…민주주의 축제 준비 ‘구슬땀’
입력 2025.05.16 (21:40)
수정 2025.05.16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로 45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내일 열립니다.
12.3 계엄 사태와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어느 때보다 5·18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방문객이 예상되는데요.
손님맞이 준비에 분주한 현장을 손민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궂은 날씨 속에서도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은 앳된 얼굴의 학생들.
묘마다 빨간 카네이션 화분을 내려놓습니다.
흰 국화 대신 올린 카네이션….
오월 영령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았습니다.
[김윤서/각화중학교 1학년 : "감동적이고 꽃이 되게 예뻐서 (좋았어요). 지금까지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다는 마음이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지난해 12·3 계엄 사태는 시민들에게 5·18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됐습니다.
덕분에 올해는 다른 지역 참배객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정주·김경일/전북 임실군 : "(12·3계엄 때) 여의도 국회 앞으로 모여들었잖아요. 저는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어제그저께 읽었지만 미리 읽었던 분들이 그 순간 (책 내용을) 생각했을 것 같아요."]
특히 올해 전야제와 기념식은 11년 만에 주말에 열려 평소보다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야제인 '민주주의 대축제'는 5·18 당시 길거리 행진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과 민주수호대축제 등 시민 참여 행사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숙소를 구하기 어려운 방문객들을 위해 금남로 인근 중앙초등학교에는 250개 동 규모의 오월텐트촌도 마련됐습니다.
한편, 행사 준비를 위해 전일빌딩 앞 금남로 통행이 제한되고, 내일은 금남로4가역 인근까지 통제 구역이 늘어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올해로 45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내일 열립니다.
12.3 계엄 사태와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어느 때보다 5·18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방문객이 예상되는데요.
손님맞이 준비에 분주한 현장을 손민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궂은 날씨 속에서도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은 앳된 얼굴의 학생들.
묘마다 빨간 카네이션 화분을 내려놓습니다.
흰 국화 대신 올린 카네이션….
오월 영령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았습니다.
[김윤서/각화중학교 1학년 : "감동적이고 꽃이 되게 예뻐서 (좋았어요). 지금까지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다는 마음이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지난해 12·3 계엄 사태는 시민들에게 5·18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됐습니다.
덕분에 올해는 다른 지역 참배객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정주·김경일/전북 임실군 : "(12·3계엄 때) 여의도 국회 앞으로 모여들었잖아요. 저는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어제그저께 읽었지만 미리 읽었던 분들이 그 순간 (책 내용을) 생각했을 것 같아요."]
특히 올해 전야제와 기념식은 11년 만에 주말에 열려 평소보다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야제인 '민주주의 대축제'는 5·18 당시 길거리 행진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과 민주수호대축제 등 시민 참여 행사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숙소를 구하기 어려운 방문객들을 위해 금남로 인근 중앙초등학교에는 250개 동 규모의 오월텐트촌도 마련됐습니다.
한편, 행사 준비를 위해 전일빌딩 앞 금남로 통행이 제한되고, 내일은 금남로4가역 인근까지 통제 구역이 늘어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18 추모 분위기 고조…민주주의 축제 준비 ‘구슬땀’
-
- 입력 2025-05-16 21:40:37
- 수정2025-05-16 22:06:10

[앵커]
올해로 45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내일 열립니다.
12.3 계엄 사태와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어느 때보다 5·18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방문객이 예상되는데요.
손님맞이 준비에 분주한 현장을 손민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궂은 날씨 속에서도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은 앳된 얼굴의 학생들.
묘마다 빨간 카네이션 화분을 내려놓습니다.
흰 국화 대신 올린 카네이션….
오월 영령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았습니다.
[김윤서/각화중학교 1학년 : "감동적이고 꽃이 되게 예뻐서 (좋았어요). 지금까지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다는 마음이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지난해 12·3 계엄 사태는 시민들에게 5·18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됐습니다.
덕분에 올해는 다른 지역 참배객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정주·김경일/전북 임실군 : "(12·3계엄 때) 여의도 국회 앞으로 모여들었잖아요. 저는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어제그저께 읽었지만 미리 읽었던 분들이 그 순간 (책 내용을) 생각했을 것 같아요."]
특히 올해 전야제와 기념식은 11년 만에 주말에 열려 평소보다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야제인 '민주주의 대축제'는 5·18 당시 길거리 행진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과 민주수호대축제 등 시민 참여 행사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숙소를 구하기 어려운 방문객들을 위해 금남로 인근 중앙초등학교에는 250개 동 규모의 오월텐트촌도 마련됐습니다.
한편, 행사 준비를 위해 전일빌딩 앞 금남로 통행이 제한되고, 내일은 금남로4가역 인근까지 통제 구역이 늘어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올해로 45주년을 맞는 5.18민주화운동 전야제가 내일 열립니다.
12.3 계엄 사태와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어느 때보다 5·18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방문객이 예상되는데요.
손님맞이 준비에 분주한 현장을 손민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궂은 날씨 속에서도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은 앳된 얼굴의 학생들.
묘마다 빨간 카네이션 화분을 내려놓습니다.
흰 국화 대신 올린 카네이션….
오월 영령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았습니다.
[김윤서/각화중학교 1학년 : "감동적이고 꽃이 되게 예뻐서 (좋았어요). 지금까지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다는 마음이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지난해 12·3 계엄 사태는 시민들에게 5·18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됐습니다.
덕분에 올해는 다른 지역 참배객들의 발걸음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문정주·김경일/전북 임실군 : "(12·3계엄 때) 여의도 국회 앞으로 모여들었잖아요. 저는 한강의 소년이 온다를 어제그저께 읽었지만 미리 읽었던 분들이 그 순간 (책 내용을) 생각했을 것 같아요."]
특히 올해 전야제와 기념식은 11년 만에 주말에 열려 평소보다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야제인 '민주주의 대축제'는 5·18 당시 길거리 행진을 재현한 민주평화대행진과 민주수호대축제 등 시민 참여 행사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숙소를 구하기 어려운 방문객들을 위해 금남로 인근 중앙초등학교에는 250개 동 규모의 오월텐트촌도 마련됐습니다.
한편, 행사 준비를 위해 전일빌딩 앞 금남로 통행이 제한되고, 내일은 금남로4가역 인근까지 통제 구역이 늘어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안재훈
-
-
손민주 기자 hand@kbs.co.kr
손민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