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사라진 ‘5조 2천억 원’…나노 반도체 국가산단에 무슨 일이?
입력 2025.07.15 (19:46)
수정 2025.07.15 (20: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대전시가 예비타당성 신청 과정에서 과도한 보상비를 이유로 후보지 면적을 상당 부분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반도체 기업 유치마저 불확실해지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1조 원에도 못미쳐 대전의 첫 국가산단으로서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어서 정재훈 기자가 보도입니다.
[리포트]
'6조 2,000억 원.'
2년 전 대전 교촌동 일대가 나노 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대전시가 공개한 생산유발효과입니다.
[이장우/대전시장/2023년 3월 : "대전의 실질적인 첫 국가산단이자 금번에 선정된 산업단지 중에 160만 평 최대 규모로써…."]
반도체 제조 특화단지로, 또 지역 전략 사업지로 언뜻 순항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대전시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며 발표한 산업단지 생산유발효과는 9,700억 원입니다.
불과 1년 만에 5조 원 이상이 축소됐습니다.
후보지 선정 당시, 529만 제곱미터였던 산단 규모가 4백만 제곱미터로 3분의 1이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에 포함됐던 옛 충남방적 부지입니다.
이곳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빠지면서 130만㎡ 이상의 면적이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속도로 일부와 급경사지 등도 함께 제외됐습니다.
과도한 보상비 부담으로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이유인데, 반도체 공장 유치마저 불발되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대폭 축소된 겁니다.
[박남철/대전시 산업입지과장 : "기업 입주하는 위치에 따라서 생산유발효과가 차이 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전시는 여전히 나노 반도체 산단이 순항 중이라는 공식 입장에 변화가 없어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대전시가 예비타당성 신청 과정에서 과도한 보상비를 이유로 후보지 면적을 상당 부분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반도체 기업 유치마저 불확실해지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1조 원에도 못미쳐 대전의 첫 국가산단으로서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어서 정재훈 기자가 보도입니다.
[리포트]
'6조 2,000억 원.'
2년 전 대전 교촌동 일대가 나노 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대전시가 공개한 생산유발효과입니다.
[이장우/대전시장/2023년 3월 : "대전의 실질적인 첫 국가산단이자 금번에 선정된 산업단지 중에 160만 평 최대 규모로써…."]
반도체 제조 특화단지로, 또 지역 전략 사업지로 언뜻 순항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대전시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며 발표한 산업단지 생산유발효과는 9,700억 원입니다.
불과 1년 만에 5조 원 이상이 축소됐습니다.
후보지 선정 당시, 529만 제곱미터였던 산단 규모가 4백만 제곱미터로 3분의 1이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에 포함됐던 옛 충남방적 부지입니다.
이곳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빠지면서 130만㎡ 이상의 면적이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속도로 일부와 급경사지 등도 함께 제외됐습니다.
과도한 보상비 부담으로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이유인데, 반도체 공장 유치마저 불발되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대폭 축소된 겁니다.
[박남철/대전시 산업입지과장 : "기업 입주하는 위치에 따라서 생산유발효과가 차이 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전시는 여전히 나노 반도체 산단이 순항 중이라는 공식 입장에 변화가 없어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사라진 ‘5조 2천억 원’…나노 반도체 국가산단에 무슨 일이?
-
- 입력 2025-07-15 19:46:14
- 수정2025-07-15 20:13:20

[앵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대전시가 예비타당성 신청 과정에서 과도한 보상비를 이유로 후보지 면적을 상당 부분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반도체 기업 유치마저 불확실해지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1조 원에도 못미쳐 대전의 첫 국가산단으로서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어서 정재훈 기자가 보도입니다.
[리포트]
'6조 2,000억 원.'
2년 전 대전 교촌동 일대가 나노 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대전시가 공개한 생산유발효과입니다.
[이장우/대전시장/2023년 3월 : "대전의 실질적인 첫 국가산단이자 금번에 선정된 산업단지 중에 160만 평 최대 규모로써…."]
반도체 제조 특화단지로, 또 지역 전략 사업지로 언뜻 순항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대전시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며 발표한 산업단지 생산유발효과는 9,700억 원입니다.
불과 1년 만에 5조 원 이상이 축소됐습니다.
후보지 선정 당시, 529만 제곱미터였던 산단 규모가 4백만 제곱미터로 3분의 1이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에 포함됐던 옛 충남방적 부지입니다.
이곳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빠지면서 130만㎡ 이상의 면적이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속도로 일부와 급경사지 등도 함께 제외됐습니다.
과도한 보상비 부담으로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이유인데, 반도체 공장 유치마저 불발되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대폭 축소된 겁니다.
[박남철/대전시 산업입지과장 : "기업 입주하는 위치에 따라서 생산유발효과가 차이 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전시는 여전히 나노 반도체 산단이 순항 중이라는 공식 입장에 변화가 없어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대전시가 예비타당성 신청 과정에서 과도한 보상비를 이유로 후보지 면적을 상당 부분 축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반도체 기업 유치마저 불확실해지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1조 원에도 못미쳐 대전의 첫 국가산단으로서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어서 정재훈 기자가 보도입니다.
[리포트]
'6조 2,000억 원.'
2년 전 대전 교촌동 일대가 나노 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됐을 당시 대전시가 공개한 생산유발효과입니다.
[이장우/대전시장/2023년 3월 : "대전의 실질적인 첫 국가산단이자 금번에 선정된 산업단지 중에 160만 평 최대 규모로써…."]
반도체 제조 특화단지로, 또 지역 전략 사업지로 언뜻 순항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대전시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하며 발표한 산업단지 생산유발효과는 9,700억 원입니다.
불과 1년 만에 5조 원 이상이 축소됐습니다.
후보지 선정 당시, 529만 제곱미터였던 산단 규모가 4백만 제곱미터로 3분의 1이 축소됐기 때문입니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에 포함됐던 옛 충남방적 부지입니다.
이곳이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빠지면서 130만㎡ 이상의 면적이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속도로 일부와 급경사지 등도 함께 제외됐습니다.
과도한 보상비 부담으로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이유인데, 반도체 공장 유치마저 불발되면서 생산 유발 효과가 대폭 축소된 겁니다.
[박남철/대전시 산업입지과장 : "기업 입주하는 위치에 따라서 생산유발효과가 차이 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전시는 여전히 나노 반도체 산단이 순항 중이라는 공식 입장에 변화가 없어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습니다.
KBS 뉴스 정재훈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
정재훈 기자 jjh119@kbs.co.kr
정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