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도 15% 관세 합의…“3~4개 나라 협상 중이지만”
입력 2025.07.28 (21:06)
수정 2025.07.28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말씀드린대로 미국과 유럽연합이 무역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유럽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관세율 15%입니다.
대신 미국은 이번에도 우리 돈 8백조 규모의 투자와 에너지 구매 약속을 받아냈습니다.
합의 내용을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간 최종 담판 끝에, 미국은 유럽연합에 15%의 상호 관세를 매기기로 했습니다.
자동차 품목별 관세도 현재보다 낮은, 15%로 합의됐습니다.
미국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일본과 같은 수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이번 거래가 우리를 매우 가깝게 이어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일종의 파트너십이라고 할 수 있죠."]
대가는 작지 않았습니다.
EU는 6천억 달러, 우리 돈 830조 원 규모의 추가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또 3년간 7천5백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에너지를 사들이고, 대규모 군사 장비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에너지나 군사 장비 구매는 러시아를 견제하는 성격도 있다지만, 미국 원하던 '선물 보따리'를 내준 셈입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처음부터 힘든 협상이 될 거라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실제로도 매우 어려웠죠. 하지만 우리는 양측 모두에게 좋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미국의 시선은 다음 협상 대상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주요 대미 무역 흑자국 중엔 우리와 타이완 등이 남아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현재 3~4개 국가와도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번 거래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실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 만족스럽지 않으니 좀 더 좋은 조건을 가져오란 얘기입니다.
미 상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 즉시 부과된다며 압박을 더했습니다.
다만, 8월 1일 이후에도 대화는 할 수 있다며 추가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
결국, 시간에 쫓기는 건 미국이 아니라 상대국이란 뜻일 겁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김시온
앞서 말씀드린대로 미국과 유럽연합이 무역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유럽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관세율 15%입니다.
대신 미국은 이번에도 우리 돈 8백조 규모의 투자와 에너지 구매 약속을 받아냈습니다.
합의 내용을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간 최종 담판 끝에, 미국은 유럽연합에 15%의 상호 관세를 매기기로 했습니다.
자동차 품목별 관세도 현재보다 낮은, 15%로 합의됐습니다.
미국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일본과 같은 수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이번 거래가 우리를 매우 가깝게 이어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일종의 파트너십이라고 할 수 있죠."]
대가는 작지 않았습니다.
EU는 6천억 달러, 우리 돈 830조 원 규모의 추가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또 3년간 7천5백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에너지를 사들이고, 대규모 군사 장비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에너지나 군사 장비 구매는 러시아를 견제하는 성격도 있다지만, 미국 원하던 '선물 보따리'를 내준 셈입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처음부터 힘든 협상이 될 거라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실제로도 매우 어려웠죠. 하지만 우리는 양측 모두에게 좋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미국의 시선은 다음 협상 대상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주요 대미 무역 흑자국 중엔 우리와 타이완 등이 남아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현재 3~4개 국가와도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번 거래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실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 만족스럽지 않으니 좀 더 좋은 조건을 가져오란 얘기입니다.
미 상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 즉시 부과된다며 압박을 더했습니다.
다만, 8월 1일 이후에도 대화는 할 수 있다며 추가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
결국, 시간에 쫓기는 건 미국이 아니라 상대국이란 뜻일 겁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EU도 15% 관세 합의…“3~4개 나라 협상 중이지만”
-
- 입력 2025-07-28 21:06:30
- 수정2025-07-28 22:05:42

[앵커]
앞서 말씀드린대로 미국과 유럽연합이 무역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유럽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관세율 15%입니다.
대신 미국은 이번에도 우리 돈 8백조 규모의 투자와 에너지 구매 약속을 받아냈습니다.
합의 내용을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간 최종 담판 끝에, 미국은 유럽연합에 15%의 상호 관세를 매기기로 했습니다.
자동차 품목별 관세도 현재보다 낮은, 15%로 합의됐습니다.
미국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일본과 같은 수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이번 거래가 우리를 매우 가깝게 이어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일종의 파트너십이라고 할 수 있죠."]
대가는 작지 않았습니다.
EU는 6천억 달러, 우리 돈 830조 원 규모의 추가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또 3년간 7천5백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에너지를 사들이고, 대규모 군사 장비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에너지나 군사 장비 구매는 러시아를 견제하는 성격도 있다지만, 미국 원하던 '선물 보따리'를 내준 셈입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처음부터 힘든 협상이 될 거라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실제로도 매우 어려웠죠. 하지만 우리는 양측 모두에게 좋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미국의 시선은 다음 협상 대상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주요 대미 무역 흑자국 중엔 우리와 타이완 등이 남아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현재 3~4개 국가와도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번 거래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실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 만족스럽지 않으니 좀 더 좋은 조건을 가져오란 얘기입니다.
미 상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 즉시 부과된다며 압박을 더했습니다.
다만, 8월 1일 이후에도 대화는 할 수 있다며 추가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
결국, 시간에 쫓기는 건 미국이 아니라 상대국이란 뜻일 겁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김시온
앞서 말씀드린대로 미국과 유럽연합이 무역 협상을 타결했습니다.
유럽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관세율 15%입니다.
대신 미국은 이번에도 우리 돈 8백조 규모의 투자와 에너지 구매 약속을 받아냈습니다.
합의 내용을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상 간 최종 담판 끝에, 미국은 유럽연합에 15%의 상호 관세를 매기기로 했습니다.
자동차 품목별 관세도 현재보다 낮은, 15%로 합의됐습니다.
미국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일본과 같은 수준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이번 거래가 우리를 매우 가깝게 이어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일종의 파트너십이라고 할 수 있죠."]
대가는 작지 않았습니다.
EU는 6천억 달러, 우리 돈 830조 원 규모의 추가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또 3년간 7천5백억 달러어치의 미국산 에너지를 사들이고, 대규모 군사 장비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에너지나 군사 장비 구매는 러시아를 견제하는 성격도 있다지만, 미국 원하던 '선물 보따리'를 내준 셈입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처음부터 힘든 협상이 될 거라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실제로도 매우 어려웠죠. 하지만 우리는 양측 모두에게 좋은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이제 미국의 시선은 다음 협상 대상국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주요 대미 무역 흑자국 중엔 우리와 타이완 등이 남아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현재 3~4개 국가와도 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의 나라들은 이번 거래가 얼마나 중요한지 잘 실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 만족스럽지 않으니 좀 더 좋은 조건을 가져오란 얘기입니다.
미 상무장관은 관세는 8월 1일 즉시 부과된다며 압박을 더했습니다.
다만, 8월 1일 이후에도 대화는 할 수 있다며 추가 협상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
결국, 시간에 쫓기는 건 미국이 아니라 상대국이란 뜻일 겁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사명환/자료조사:김시온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