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작년 리비아서 납치된 한국인 남성 315일 만에 석방”
입력 2019.05.17 (09:01)
수정 2019.05.17 (0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리비아에서 현지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한국인 남성 1명이 석방됐습니다.
청와대 정의용 안보실장은 지난해 7월 6일 리비아 서부 자발 하사우나 지역에서 무장 민병대에 피랍됐던 62살 주 모 씨가 어제 오후 석방됐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주 씨 석방은 피랍된 지 315일 만입니다.
정 실장은 현재 주 씨가 현지 공관의 보호 속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안전하게 머물고 있고, 내일 귀국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현지 병원에서 주 씨에 대한 1차 검진 결과, 건강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의 석방에는 UAE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 실장은 "지난 2월 말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UAE 정상회담에서 모하메드 왕세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우리 국민이 석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한 것을 계기로, UAE 정부가 사건 해결에 적극 나서면서 우리 국민이 안전하게 귀환하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주 씨 석방에 결정적 역할을 해준 UAE 정부와 모하메드 왕세자께 우리 정부와 문 대통령의 각별한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UAE가 어떻게 도움을 줬는지에 대해 "UAE 외교부가 리비아 군 당국과 긴밀히 협조하면서 석방을 이끌어낸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직접 군사적 구출 작전을 시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리비아에서는 내전이 진행되고 있어 정세가 극히 불안하고 거의 무정부 상태에 가까운 상황이라며, "가능한 방법을 다 검토하고 최대한 노력한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밝혔습니다.
석방 협상 과정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협상 내용을 다 설명드릴 순 없다"면서 "UAE가 가지고 있는 그 지역에서의 영향력, 부족간 협력관계를 동원해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대통령께서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계속 조기 석방을 추진해온 사안"이라며, "4개월 가까이 리비아 앞바다에 함정을 보낼 정도로 피랍 국민을 안전하게 석방하는 데 총력을 견지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는 주 씨를 납치한 세력은 리비아 남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범죄 집단이며, 납치 경위와 억류 상황 등 구체적인 사항은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아직 리비아에 한국인 4명이 남아 있다며, 가급적 조기에 리비아를 나올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 정의용 안보실장은 지난해 7월 6일 리비아 서부 자발 하사우나 지역에서 무장 민병대에 피랍됐던 62살 주 모 씨가 어제 오후 석방됐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주 씨 석방은 피랍된 지 315일 만입니다.
정 실장은 현재 주 씨가 현지 공관의 보호 속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안전하게 머물고 있고, 내일 귀국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현지 병원에서 주 씨에 대한 1차 검진 결과, 건강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의 석방에는 UAE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 실장은 "지난 2월 말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UAE 정상회담에서 모하메드 왕세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우리 국민이 석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한 것을 계기로, UAE 정부가 사건 해결에 적극 나서면서 우리 국민이 안전하게 귀환하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주 씨 석방에 결정적 역할을 해준 UAE 정부와 모하메드 왕세자께 우리 정부와 문 대통령의 각별한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UAE가 어떻게 도움을 줬는지에 대해 "UAE 외교부가 리비아 군 당국과 긴밀히 협조하면서 석방을 이끌어낸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직접 군사적 구출 작전을 시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리비아에서는 내전이 진행되고 있어 정세가 극히 불안하고 거의 무정부 상태에 가까운 상황이라며, "가능한 방법을 다 검토하고 최대한 노력한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밝혔습니다.
석방 협상 과정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협상 내용을 다 설명드릴 순 없다"면서 "UAE가 가지고 있는 그 지역에서의 영향력, 부족간 협력관계를 동원해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대통령께서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계속 조기 석방을 추진해온 사안"이라며, "4개월 가까이 리비아 앞바다에 함정을 보낼 정도로 피랍 국민을 안전하게 석방하는 데 총력을 견지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는 주 씨를 납치한 세력은 리비아 남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범죄 집단이며, 납치 경위와 억류 상황 등 구체적인 사항은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아직 리비아에 한국인 4명이 남아 있다며, 가급적 조기에 리비아를 나올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靑 “작년 리비아서 납치된 한국인 남성 315일 만에 석방”
-
- 입력 2019-05-17 09:01:37
- 수정2019-05-17 09:52:51

지난해 리비아에서 현지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한국인 남성 1명이 석방됐습니다.
청와대 정의용 안보실장은 지난해 7월 6일 리비아 서부 자발 하사우나 지역에서 무장 민병대에 피랍됐던 62살 주 모 씨가 어제 오후 석방됐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주 씨 석방은 피랍된 지 315일 만입니다.
정 실장은 현재 주 씨가 현지 공관의 보호 속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안전하게 머물고 있고, 내일 귀국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현지 병원에서 주 씨에 대한 1차 검진 결과, 건강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의 석방에는 UAE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 실장은 "지난 2월 말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UAE 정상회담에서 모하메드 왕세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우리 국민이 석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한 것을 계기로, UAE 정부가 사건 해결에 적극 나서면서 우리 국민이 안전하게 귀환하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주 씨 석방에 결정적 역할을 해준 UAE 정부와 모하메드 왕세자께 우리 정부와 문 대통령의 각별한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UAE가 어떻게 도움을 줬는지에 대해 "UAE 외교부가 리비아 군 당국과 긴밀히 협조하면서 석방을 이끌어낸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직접 군사적 구출 작전을 시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리비아에서는 내전이 진행되고 있어 정세가 극히 불안하고 거의 무정부 상태에 가까운 상황이라며, "가능한 방법을 다 검토하고 최대한 노력한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밝혔습니다.
석방 협상 과정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협상 내용을 다 설명드릴 순 없다"면서 "UAE가 가지고 있는 그 지역에서의 영향력, 부족간 협력관계를 동원해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대통령께서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계속 조기 석방을 추진해온 사안"이라며, "4개월 가까이 리비아 앞바다에 함정을 보낼 정도로 피랍 국민을 안전하게 석방하는 데 총력을 견지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는 주 씨를 납치한 세력은 리비아 남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범죄 집단이며, 납치 경위와 억류 상황 등 구체적인 사항은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아직 리비아에 한국인 4명이 남아 있다며, 가급적 조기에 리비아를 나올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청와대 정의용 안보실장은 지난해 7월 6일 리비아 서부 자발 하사우나 지역에서 무장 민병대에 피랍됐던 62살 주 모 씨가 어제 오후 석방됐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주 씨 석방은 피랍된 지 315일 만입니다.
정 실장은 현재 주 씨가 현지 공관의 보호 속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안전하게 머물고 있고, 내일 귀국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현지 병원에서 주 씨에 대한 1차 검진 결과, 건강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
주 씨의 석방에는 UAE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 실장은 "지난 2월 말 서울에서 개최된 한국-UAE 정상회담에서 모하메드 왕세제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우리 국민이 석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한 것을 계기로, UAE 정부가 사건 해결에 적극 나서면서 우리 국민이 안전하게 귀환하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으면서 주 씨 석방에 결정적 역할을 해준 UAE 정부와 모하메드 왕세자께 우리 정부와 문 대통령의 각별한 감사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UAE가 어떻게 도움을 줬는지에 대해 "UAE 외교부가 리비아 군 당국과 긴밀히 협조하면서 석방을 이끌어낸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직접 군사적 구출 작전을 시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리비아에서는 내전이 진행되고 있어 정세가 극히 불안하고 거의 무정부 상태에 가까운 상황이라며, "가능한 방법을 다 검토하고 최대한 노력한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밝혔습니다.
석방 협상 과정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협상 내용을 다 설명드릴 순 없다"면서 "UAE가 가지고 있는 그 지역에서의 영향력, 부족간 협력관계를 동원해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은 "대통령께서 가장 큰 관심을 갖고 계속 조기 석방을 추진해온 사안"이라며, "4개월 가까이 리비아 앞바다에 함정을 보낼 정도로 피랍 국민을 안전하게 석방하는 데 총력을 견지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는 주 씨를 납치한 세력은 리비아 남부 지역에서 활동하는 범죄 집단이며, 납치 경위와 억류 상황 등 구체적인 사항은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아직 리비아에 한국인 4명이 남아 있다며, 가급적 조기에 리비아를 나올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