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시위 1주년…‘송환법’에서 ‘보안법’으로

입력 2020.06.09 (07:30) 수정 2020.06.09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은 홍콩 인구 7분의 1에 해당하는 100만 명이 거리로 나서 홍콩 송환법 반대 투쟁을 시작한 지 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송환법은 결국 철회됐지만, 해가 바뀌어 보안법 문제가 또 불거지면서 홍콩 내 친중, 반중 세력은 물론 중국과 미국도 홍콩의 운명을 두고 대립하고 있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송환법 반대 투쟁의 시발점이 된 작년 6월 9일.

이후 시위는 장장 6개월 동안 이어졌습니다.

송환법은 결국 철회됐고, 홍콩 민심은 구의회 선거에서 민주파에 압도적 지지도 몰아줬습니다.

중국 지도부는 이를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최악의 위기로 받아들였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홍콩 보안법입니다.

홍콩에 정보기관을 세워 반중국 행위를 단속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피폐한 경제 탓에 저항이 쉽지 않을 거라는 예상을 깨고, 홍콩 시민들이 또 촛불을 들었습니다.

[후이/홍콩 시민 : "집회의 자유마저 빼앗고, 홍콩에 일국양제가 있는 겁니까? 화가 납니다."]

한 홍콩매체 조사 결과 홍콩 시민 37%는 여전히, 행정장관 직선제 등 5대 요구에 변함이 없다고 답했고, 30%는 오히려 결심이 더 강해졌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는 홍콩 시민 300만 명이 보안법 지지 서명에 참여했다며 물러설 기미가 없습니다.

미국의 제재 경고엔 중국 내정이라고 맞받았습니다.

[화춘잉/중국 외교부 대변인 : "미국의 진짜 관심은 홍콩의 소위 자유가 아니라, 중국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가 두달에 한번 열리는 것을 감안하면 홍콩 보안법은 빠르면 이달에, 늦어도 8월에는 제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9월 홍콩 입법회 선거도 앞두고 있어서 하반기 내내 홍콩은 친중 반중 대결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 시위 1주년…‘송환법’에서 ‘보안법’으로
    • 입력 2020-06-09 07:31:11
    • 수정2020-06-09 07:58:59
    뉴스광장
[앵커]

오늘은 홍콩 인구 7분의 1에 해당하는 100만 명이 거리로 나서 홍콩 송환법 반대 투쟁을 시작한 지 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송환법은 결국 철회됐지만, 해가 바뀌어 보안법 문제가 또 불거지면서 홍콩 내 친중, 반중 세력은 물론 중국과 미국도 홍콩의 운명을 두고 대립하고 있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송환법 반대 투쟁의 시발점이 된 작년 6월 9일.

이후 시위는 장장 6개월 동안 이어졌습니다.

송환법은 결국 철회됐고, 홍콩 민심은 구의회 선거에서 민주파에 압도적 지지도 몰아줬습니다.

중국 지도부는 이를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최악의 위기로 받아들였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홍콩 보안법입니다.

홍콩에 정보기관을 세워 반중국 행위를 단속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피폐한 경제 탓에 저항이 쉽지 않을 거라는 예상을 깨고, 홍콩 시민들이 또 촛불을 들었습니다.

[후이/홍콩 시민 : "집회의 자유마저 빼앗고, 홍콩에 일국양제가 있는 겁니까? 화가 납니다."]

한 홍콩매체 조사 결과 홍콩 시민 37%는 여전히, 행정장관 직선제 등 5대 요구에 변함이 없다고 답했고, 30%는 오히려 결심이 더 강해졌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는 홍콩 시민 300만 명이 보안법 지지 서명에 참여했다며 물러설 기미가 없습니다.

미국의 제재 경고엔 중국 내정이라고 맞받았습니다.

[화춘잉/중국 외교부 대변인 : "미국의 진짜 관심은 홍콩의 소위 자유가 아니라, 중국을 파괴하는 것입니다."]

중국 전인대 상무위원회가 두달에 한번 열리는 것을 감안하면 홍콩 보안법은 빠르면 이달에, 늦어도 8월에는 제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9월 홍콩 입법회 선거도 앞두고 있어서 하반기 내내 홍콩은 친중 반중 대결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