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먼저 온라인을 통해 게재됐던 인터뷰가 지면을 통해 공개됐는데요.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에서 이 대표는 "민주당의 주된 가치는 '실용주의'라고 밝혔습니다.
다음날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이 대표는 '실용주의' 행보를 강조하며, 자신의 대표 정책 가운데 하나인 '기본사회' 정책도 후순위로 미룰 수 있다고 했는데 우리 경제가 처한 상황이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대표가 '실용주의'를 강조하고 나선 데 대해 "'성장의 회복'과 '파이 (자체를) 성장시키는 것'의 중요성, 민간 부문과 자본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며 "이념과 파벌을 뛰어넘어 결과를 만들어내는 정치를 부각했다"고 평가했습니다.
■ "윤 정부 '대일 외교', 지나치게 복종하는 태도"
이 대표는 외교정책에 있어서도 '실용주의'를 강조했는데요.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일원으로 한일관계는 더 심화하고 한미일 3국 협력도 지속해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의 국방력 강화에 대해선 "한일 관계가 현재 적대적이지 않아 한국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는 '지나치게 복종하는 태도'라며 비판적 견해를 보였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습니다.
이 대표는 "과거 일본이 인권 침해를 저질렀음에도 사과하지 않는 이상한 사람들로 가득찬 나라라고 생각하곤 했다"며 "변호사 시절 일본을 방문한 뒤 일본인의 근면함, 성실함, 예의에 충격을 받았고 결국 정치로 인해 관계가 왜곡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도 말했습니다.
■ "'셰셰(고맙습니다)' 발언, 실용 외교 강조 차원"
이 대표는 지난 총선 과정에서 정부의 대중 외교 기조를 비판하며 했던 '셰셰' 발언에 대해선 "실용외교 강조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당시 이 대표는 유세 과정에서 "가장 크게 망가뜨린 게 뭐냐, 외교"라며 "우리나라 최대 흑자국가, 수출국가인 중국이 지금은 최대 수입국가가 돼 버렸다, 중국 사람들이 한국 싫다고 한국 물건을 사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에도) 그냥 '셰셰',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되지 자꾸 여기저기 집적거리냐"며 "양안 문제, 우리가 왜 개입하나 그냥 우리는 우리 잘 살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표는 인터뷰에서 "해당 발언은 단지 한국이 실용적인 외교를 해야 한다는 의미일 뿐 국익을 해칠 정도로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대표의 외교 정책 기조와 관련해 이전 민주당 정부와 달리 현재 한반도 주변의 안보 환경 및 중국, 일본 등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호감도 등이 변화함에 따라 대한민국의 외교적 움직임에도 제약이 생겼고 이 대표 또한 이를 잘 인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북한 군사적 억제 가능…관계 개선 필요"
대북 문제와 관련해 이 대표는 "우리는 이미 북한을 억제할 만큼 군사적으로 충분히 강하다"며 "주어진 과제는 '소통과 참여'를 통해 관계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시급한 과제를 이 대표는 '헌정질서 회복'으로 꼽았고, 최근 여론조사 변화 추이에 대해선 "현재 진행 중인 혼란에 좌절한 유권자들이 과거에는 민주당을 야당으로 여겼지만 이제는 책임을 져야 하는 지도 세력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대표가 처해 있는 여러 재판 상황도 언급했는데, 이러한 상황이 이 대표를 '분열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 초 이 대표를 향해 칼을 휘두른 극단주의자의 테러 시도 등이 있었던 점을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재명 “민주당 주된 가치 ‘실용주의’”…일본·중국 관계도
-
- 입력 2025-02-01 17:50:59
지난달 22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먼저 온라인을 통해 게재됐던 인터뷰가 지면을 통해 공개됐는데요.
이코노미스트와 인터뷰에서 이 대표는 "민주당의 주된 가치는 '실용주의'라고 밝혔습니다.
다음날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이 대표는 '실용주의' 행보를 강조하며, 자신의 대표 정책 가운데 하나인 '기본사회' 정책도 후순위로 미룰 수 있다고 했는데 우리 경제가 처한 상황이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대표가 '실용주의'를 강조하고 나선 데 대해 "'성장의 회복'과 '파이 (자체를) 성장시키는 것'의 중요성, 민간 부문과 자본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라며 "이념과 파벌을 뛰어넘어 결과를 만들어내는 정치를 부각했다"고 평가했습니다.
■ "윤 정부 '대일 외교', 지나치게 복종하는 태도"
이 대표는 외교정책에 있어서도 '실용주의'를 강조했는데요.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일원으로 한일관계는 더 심화하고 한미일 3국 협력도 지속해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의 국방력 강화에 대해선 "한일 관계가 현재 적대적이지 않아 한국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는 '지나치게 복종하는 태도'라며 비판적 견해를 보였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습니다.
이 대표는 "과거 일본이 인권 침해를 저질렀음에도 사과하지 않는 이상한 사람들로 가득찬 나라라고 생각하곤 했다"며 "변호사 시절 일본을 방문한 뒤 일본인의 근면함, 성실함, 예의에 충격을 받았고 결국 정치로 인해 관계가 왜곡됐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도 말했습니다.
■ "'셰셰(고맙습니다)' 발언, 실용 외교 강조 차원"
이 대표는 지난 총선 과정에서 정부의 대중 외교 기조를 비판하며 했던 '셰셰' 발언에 대해선 "실용외교 강조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당시 이 대표는 유세 과정에서 "가장 크게 망가뜨린 게 뭐냐, 외교"라며 "우리나라 최대 흑자국가, 수출국가인 중국이 지금은 최대 수입국가가 돼 버렸다, 중국 사람들이 한국 싫다고 한국 물건을 사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에도) 그냥 '셰셰',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되지 자꾸 여기저기 집적거리냐"며 "양안 문제, 우리가 왜 개입하나 그냥 우리는 우리 잘 살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표는 인터뷰에서 "해당 발언은 단지 한국이 실용적인 외교를 해야 한다는 의미일 뿐 국익을 해칠 정도로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대표의 외교 정책 기조와 관련해 이전 민주당 정부와 달리 현재 한반도 주변의 안보 환경 및 중국, 일본 등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호감도 등이 변화함에 따라 대한민국의 외교적 움직임에도 제약이 생겼고 이 대표 또한 이를 잘 인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북한 군사적 억제 가능…관계 개선 필요"
대북 문제와 관련해 이 대표는 "우리는 이미 북한을 억제할 만큼 군사적으로 충분히 강하다"며 "주어진 과제는 '소통과 참여'를 통해 관계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시급한 과제를 이 대표는 '헌정질서 회복'으로 꼽았고, 최근 여론조사 변화 추이에 대해선 "현재 진행 중인 혼란에 좌절한 유권자들이 과거에는 민주당을 야당으로 여겼지만 이제는 책임을 져야 하는 지도 세력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 대표가 처해 있는 여러 재판 상황도 언급했는데, 이러한 상황이 이 대표를 '분열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해 초 이 대표를 향해 칼을 휘두른 극단주의자의 테러 시도 등이 있었던 점을 들었습니다.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