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선고 하루 전…이 시각 헌법재판소
입력 2025.04.03 (19:02)
수정 2025.04.03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선고가 얼마 안 남은 만큼 당일 아침까지 결정문을 가다듬는 작업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재판관들은 퇴근했나요?
[기자]
네, 일부 재판관들은 평소 퇴근 시간보다 먼저 헌재를 떠나긴 했는데요.
퇴근 전까지 내일 발표할 탄핵 심판 결정문을 다듬는 일 등에 집중했습니다.
재판관 평의는 오전부터 열려, 오후까지 결정문에 들어갈 구체적 문구를 다듬고 보충 의견 등을 기재할지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만약 오늘까지도 마무리가 되지 않았다면 최종 결정문 수정은 선고 당일인 내일 아침까지도 이뤄질 수 있습니다.
헌재는 내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합니다.
윤 대통령을 파면하거나 직무에 복귀시키는 헌재 결정의 효력은 재판장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합니다.
[앵커]
대통령 파면이냐 복귀냐를 두고 전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데, 보안도 한층 강화되고 있죠?
[기자]
헌법재판소 앞은 인적이 눈에 띄게 드물어졌습니다.
이른바 '진공화' 작업으로 주변을 차벽으로 막고, 통행도 제한하고 있습니다.
탄핵 선고 이후 혹시 모를 안전사고나 불상사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윤 대통령도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헌재도 만반의 준비를 하는 모습인데요.
내일 헌재 건물엔 재판관들이 타는 관용차를 비롯해 몇몇 차들만 출입이 가능하고, 나머지 차량은 진입이 통제됩니다.
전자 추첨으로 약 4,800대 1을 뚫고 오는 일반 방청객 20명에 대해서도 보안 검색 등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헌재 관계자는 대심판정 내부에서 돌발 상황이 생길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선고가 얼마 안 남은 만큼 당일 아침까지 결정문을 가다듬는 작업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재판관들은 퇴근했나요?
[기자]
네, 일부 재판관들은 평소 퇴근 시간보다 먼저 헌재를 떠나긴 했는데요.
퇴근 전까지 내일 발표할 탄핵 심판 결정문을 다듬는 일 등에 집중했습니다.
재판관 평의는 오전부터 열려, 오후까지 결정문에 들어갈 구체적 문구를 다듬고 보충 의견 등을 기재할지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만약 오늘까지도 마무리가 되지 않았다면 최종 결정문 수정은 선고 당일인 내일 아침까지도 이뤄질 수 있습니다.
헌재는 내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합니다.
윤 대통령을 파면하거나 직무에 복귀시키는 헌재 결정의 효력은 재판장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합니다.
[앵커]
대통령 파면이냐 복귀냐를 두고 전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데, 보안도 한층 강화되고 있죠?
[기자]
헌법재판소 앞은 인적이 눈에 띄게 드물어졌습니다.
이른바 '진공화' 작업으로 주변을 차벽으로 막고, 통행도 제한하고 있습니다.
탄핵 선고 이후 혹시 모를 안전사고나 불상사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윤 대통령도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헌재도 만반의 준비를 하는 모습인데요.
내일 헌재 건물엔 재판관들이 타는 관용차를 비롯해 몇몇 차들만 출입이 가능하고, 나머지 차량은 진입이 통제됩니다.
전자 추첨으로 약 4,800대 1을 뚫고 오는 일반 방청객 20명에 대해서도 보안 검색 등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헌재 관계자는 대심판정 내부에서 돌발 상황이 생길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핵 선고 하루 전…이 시각 헌법재판소
-
- 입력 2025-04-03 19:02:19
- 수정2025-04-03 19:41:00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선고가 얼마 안 남은 만큼 당일 아침까지 결정문을 가다듬는 작업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재판관들은 퇴근했나요?
[기자]
네, 일부 재판관들은 평소 퇴근 시간보다 먼저 헌재를 떠나긴 했는데요.
퇴근 전까지 내일 발표할 탄핵 심판 결정문을 다듬는 일 등에 집중했습니다.
재판관 평의는 오전부터 열려, 오후까지 결정문에 들어갈 구체적 문구를 다듬고 보충 의견 등을 기재할지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만약 오늘까지도 마무리가 되지 않았다면 최종 결정문 수정은 선고 당일인 내일 아침까지도 이뤄질 수 있습니다.
헌재는 내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합니다.
윤 대통령을 파면하거나 직무에 복귀시키는 헌재 결정의 효력은 재판장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합니다.
[앵커]
대통령 파면이냐 복귀냐를 두고 전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데, 보안도 한층 강화되고 있죠?
[기자]
헌법재판소 앞은 인적이 눈에 띄게 드물어졌습니다.
이른바 '진공화' 작업으로 주변을 차벽으로 막고, 통행도 제한하고 있습니다.
탄핵 선고 이후 혹시 모를 안전사고나 불상사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윤 대통령도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헌재도 만반의 준비를 하는 모습인데요.
내일 헌재 건물엔 재판관들이 타는 관용차를 비롯해 몇몇 차들만 출입이 가능하고, 나머지 차량은 진입이 통제됩니다.
전자 추첨으로 약 4,800대 1을 뚫고 오는 일반 방청객 20명에 대해서도 보안 검색 등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헌재 관계자는 대심판정 내부에서 돌발 상황이 생길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선고가 얼마 안 남은 만큼 당일 아침까지 결정문을 가다듬는 작업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재판관들은 퇴근했나요?
[기자]
네, 일부 재판관들은 평소 퇴근 시간보다 먼저 헌재를 떠나긴 했는데요.
퇴근 전까지 내일 발표할 탄핵 심판 결정문을 다듬는 일 등에 집중했습니다.
재판관 평의는 오전부터 열려, 오후까지 결정문에 들어갈 구체적 문구를 다듬고 보충 의견 등을 기재할지 조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만약 오늘까지도 마무리가 되지 않았다면 최종 결정문 수정은 선고 당일인 내일 아침까지도 이뤄질 수 있습니다.
헌재는 내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합니다.
윤 대통령을 파면하거나 직무에 복귀시키는 헌재 결정의 효력은 재판장이 주문을 읽는 즉시 발생합니다.
[앵커]
대통령 파면이냐 복귀냐를 두고 전 국민이 지켜보고 있는데, 보안도 한층 강화되고 있죠?
[기자]
헌법재판소 앞은 인적이 눈에 띄게 드물어졌습니다.
이른바 '진공화' 작업으로 주변을 차벽으로 막고, 통행도 제한하고 있습니다.
탄핵 선고 이후 혹시 모를 안전사고나 불상사에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윤 대통령도 질서 유지와 경호 문제 등을 고려해 선고기일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헌재도 만반의 준비를 하는 모습인데요.
내일 헌재 건물엔 재판관들이 타는 관용차를 비롯해 몇몇 차들만 출입이 가능하고, 나머지 차량은 진입이 통제됩니다.
전자 추첨으로 약 4,800대 1을 뚫고 오는 일반 방청객 20명에 대해서도 보안 검색 등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헌재 관계자는 대심판정 내부에서 돌발 상황이 생길 경우에 대비한 대응책도 마련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영상편집:양다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