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팁은요?”…또 등장한 ‘팁 박스’에 난리 난 SNS [잇슈#태그]
입력 2025.07.28 (06:00)
수정 2025.07.28 (0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식사하고 나왔더니 계산대 앞에 팁 박스가 놓여 있었다는 글이 SNS에 올라왔습니다.
글쓴이는 "여긴 한국이다, 팁 문화 들여오지 말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누리꾼들 반응도 부정적입니다.
"도대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팁이 있었냐"며 "왜 자꾸 손님한테 팁을 요구하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팁 문화를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얼마 전에도 한 냉면집이 직원 회식비 명목으로 3백 원을 추가하는 선택 항목을 키오스크에 넣어 논란이 됐고, 2023년 한 유명 빵집은 팁 박스를 두었다가 비난 여론 끝에 없애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은 부가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최종 가격을 메뉴판에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팁을 요구했다 하더라도 강제성이 없다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글쓴이는 "여긴 한국이다, 팁 문화 들여오지 말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누리꾼들 반응도 부정적입니다.
"도대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팁이 있었냐"며 "왜 자꾸 손님한테 팁을 요구하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팁 문화를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얼마 전에도 한 냉면집이 직원 회식비 명목으로 3백 원을 추가하는 선택 항목을 키오스크에 넣어 논란이 됐고, 2023년 한 유명 빵집은 팁 박스를 두었다가 비난 여론 끝에 없애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은 부가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최종 가격을 메뉴판에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팁을 요구했다 하더라도 강제성이 없다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손님, 팁은요?”…또 등장한 ‘팁 박스’에 난리 난 SNS [잇슈#태그]
-
- 입력 2025-07-28 06:00:10
- 수정2025-07-28 06:00:45

최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식사하고 나왔더니 계산대 앞에 팁 박스가 놓여 있었다는 글이 SNS에 올라왔습니다.
글쓴이는 "여긴 한국이다, 팁 문화 들여오지 말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누리꾼들 반응도 부정적입니다.
"도대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팁이 있었냐"며 "왜 자꾸 손님한테 팁을 요구하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팁 문화를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얼마 전에도 한 냉면집이 직원 회식비 명목으로 3백 원을 추가하는 선택 항목을 키오스크에 넣어 논란이 됐고, 2023년 한 유명 빵집은 팁 박스를 두었다가 비난 여론 끝에 없애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은 부가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최종 가격을 메뉴판에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팁을 요구했다 하더라도 강제성이 없다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글쓴이는 "여긴 한국이다, 팁 문화 들여오지 말라"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누리꾼들 반응도 부정적입니다.
"도대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팁이 있었냐"며 "왜 자꾸 손님한테 팁을 요구하는지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팁 문화를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얼마 전에도 한 냉면집이 직원 회식비 명목으로 3백 원을 추가하는 선택 항목을 키오스크에 넣어 논란이 됐고, 2023년 한 유명 빵집은 팁 박스를 두었다가 비난 여론 끝에 없애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은 부가세와 봉사료를 모두 포함한 최종 가격을 메뉴판에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팁을 요구했다 하더라도 강제성이 없다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