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이물질 삼킴 주의…80%가 5세 이하 발생
입력 2012.12.25 (21:33)
수정 2012.12.25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린아이들은 신기한 물건만 보면 무턱대고 입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이물질을 삼키는 사고가 끊이질 않습니다.
특히 5세 이하 어린이에게서 자주 발생하니 부모님께서 잘 살피셔야겠습니다.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주부는 아직도 가슴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4살 된 아들이 단추형 건전지를 삼켜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응급 상황까지 갔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정호석(대전시 목동) : "열도 나고 해서 병원에 갔더니 엑스레이를 찍어보니까 건전지를 삼킨 거예요. 장난감을 갖고 놀다가..."
이물질을 삼켜 병원을 찾은 어린이들의 X레이 사진입니다.
3cm가 넘는 머리핀, 큼지막한 단추형 자석, 어떻게 삼켰을까 싶은 날카로운 옷핀까지.
이 같은 이물질 삼킴 사고는 80%가 5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생하는데, 지난해만 천 3백여 건에 이르는 등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요즘 들어서는 장난감에 쓰이는 자석이나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늘고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자석을 삼키면 서로 끌어당기는 현상 때문에 장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특히 건전지는 화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인터뷰> 신명석(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 "전기 화학적인 화상을 일으키게 되죠. 그럼 결국 화상으로 인해서 궤양이 생기고 그 다음에 천공으로 악화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물질을 삼켰을 때 손가락으로 빼내려고 하면 오히려 기도를 막아 질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을 두드려 뱉어내게 하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어린아이들은 신기한 물건만 보면 무턱대고 입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이물질을 삼키는 사고가 끊이질 않습니다.
특히 5세 이하 어린이에게서 자주 발생하니 부모님께서 잘 살피셔야겠습니다.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주부는 아직도 가슴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4살 된 아들이 단추형 건전지를 삼켜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응급 상황까지 갔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정호석(대전시 목동) : "열도 나고 해서 병원에 갔더니 엑스레이를 찍어보니까 건전지를 삼킨 거예요. 장난감을 갖고 놀다가..."
이물질을 삼켜 병원을 찾은 어린이들의 X레이 사진입니다.
3cm가 넘는 머리핀, 큼지막한 단추형 자석, 어떻게 삼켰을까 싶은 날카로운 옷핀까지.
이 같은 이물질 삼킴 사고는 80%가 5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생하는데, 지난해만 천 3백여 건에 이르는 등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요즘 들어서는 장난감에 쓰이는 자석이나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늘고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자석을 삼키면 서로 끌어당기는 현상 때문에 장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특히 건전지는 화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인터뷰> 신명석(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 "전기 화학적인 화상을 일으키게 되죠. 그럼 결국 화상으로 인해서 궤양이 생기고 그 다음에 천공으로 악화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물질을 삼켰을 때 손가락으로 빼내려고 하면 오히려 기도를 막아 질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을 두드려 뱉어내게 하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 이물질 삼킴 주의…80%가 5세 이하 발생
-
- 입력 2012-12-25 21:45:30
- 수정2012-12-25 22:20:39

<앵커 멘트>
어린아이들은 신기한 물건만 보면 무턱대고 입으로 가져가기 때문에 이물질을 삼키는 사고가 끊이질 않습니다.
특히 5세 이하 어린이에게서 자주 발생하니 부모님께서 잘 살피셔야겠습니다.
황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주부는 아직도 가슴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4살 된 아들이 단추형 건전지를 삼켜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응급 상황까지 갔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정호석(대전시 목동) : "열도 나고 해서 병원에 갔더니 엑스레이를 찍어보니까 건전지를 삼킨 거예요. 장난감을 갖고 놀다가..."
이물질을 삼켜 병원을 찾은 어린이들의 X레이 사진입니다.
3cm가 넘는 머리핀, 큼지막한 단추형 자석, 어떻게 삼켰을까 싶은 날카로운 옷핀까지.
이 같은 이물질 삼킴 사고는 80%가 5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생하는데, 지난해만 천 3백여 건에 이르는 등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요즘 들어서는 장난감에 쓰이는 자석이나 건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늘고 있습니다.
두 개 이상의 자석을 삼키면 서로 끌어당기는 현상 때문에 장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구멍을 낼 수 있습니다.
특히 건전지는 화상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인터뷰> 신명석(대전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 "전기 화학적인 화상을 일으키게 되죠. 그럼 결국 화상으로 인해서 궤양이 생기고 그 다음에 천공으로 악화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물질을 삼켰을 때 손가락으로 빼내려고 하면 오히려 기도를 막아 질식할 수 있기 때문에 등을 두드려 뱉어내게 하는 게 좋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
-
-
황정환 기자 baram@kbs.co.kr
황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