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보험 미가입 산불 이재민 보상 막막

입력 2025.04.02 (19:03) 수정 2025.04.02 (2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북 산불로 지금까지 농촌 주택 4천 채 가까이가 불에 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이재민 대다수는 주택 화재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정부 지원금에 기댈 수 밖에 없는데, 이마저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김지홍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마가 휩쓸고 간 농촌마을, 기와집, 창고 할 것 없이 폭격을 맞은 듯 무너졌고, 가재도구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불에 탔습니다.

한 순간에 사라져버린 삶의 터전을 바라보는 주민은 살아갈 길이 막막하기만 합니다.

[손기태/의성군 단촌면 : "농사 지어서 생활하면 쪼들려요. 생활이. 보험도 생각지도 못하고 이렇게 피해가 나니까 보험이 생각나지."]

이 마을에서만 주택 28채가 불에 탔지만, 화재 보험에 가입한 곳은 단 3가구에 불과해 대다수는 보상받을 길이 없습니다.

주거단지가 밀집한 도시와 달리, 농촌에서는 주택 화재보험 보다는 농작물이나 가축 등의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이재민들은 정부의 복구비 지원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

하지만, 지원금은 주택이 모두 파손된 경우 최대 3천6백만 원, 반파된 경우는 최대 천8백만 원에 그쳐 이 돈으로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결국, 빚을 내서 집을 지어야 한다는 이야깁니다.

[류시국/의성군 단촌면 : "80살 넘은 어른들이 언제까지 살지 모르는데 막말로 집을 못해도 1억 원으로 짓는다고 하면 1억을 자식들이 여유가 있어서 '지어줄게' 한다는 것은 쉽지 않잖아요."]

산불로 불에 탄 주택은 경북 5개 시·군에서 4천채나 됩니다.

경상북도는 정부에 주택복구 지원금을 자연 재난에 준하는 수준으로 올려 줄 것을 건의했지만,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이재민들은 답답한 심정으로 지켜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김미령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화재보험 미가입 산불 이재민 보상 막막
    • 입력 2025-04-02 19:03:00
    • 수정2025-04-02 20:08:57
    뉴스7(대구)
[앵커]

경북 산불로 지금까지 농촌 주택 4천 채 가까이가 불에 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지만 이재민 대다수는 주택 화재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정부 지원금에 기댈 수 밖에 없는데, 이마저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김지홍 기자입니다.

[리포트]

화마가 휩쓸고 간 농촌마을, 기와집, 창고 할 것 없이 폭격을 맞은 듯 무너졌고, 가재도구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불에 탔습니다.

한 순간에 사라져버린 삶의 터전을 바라보는 주민은 살아갈 길이 막막하기만 합니다.

[손기태/의성군 단촌면 : "농사 지어서 생활하면 쪼들려요. 생활이. 보험도 생각지도 못하고 이렇게 피해가 나니까 보험이 생각나지."]

이 마을에서만 주택 28채가 불에 탔지만, 화재 보험에 가입한 곳은 단 3가구에 불과해 대다수는 보상받을 길이 없습니다.

주거단지가 밀집한 도시와 달리, 농촌에서는 주택 화재보험 보다는 농작물이나 가축 등의 보험에 가입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이재민들은 정부의 복구비 지원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상황.

하지만, 지원금은 주택이 모두 파손된 경우 최대 3천6백만 원, 반파된 경우는 최대 천8백만 원에 그쳐 이 돈으로 집을 새로 짓기엔 턱없이 부족합니다.

결국, 빚을 내서 집을 지어야 한다는 이야깁니다.

[류시국/의성군 단촌면 : "80살 넘은 어른들이 언제까지 살지 모르는데 막말로 집을 못해도 1억 원으로 짓는다고 하면 1억을 자식들이 여유가 있어서 '지어줄게' 한다는 것은 쉽지 않잖아요."]

산불로 불에 탄 주택은 경북 5개 시·군에서 4천채나 됩니다.

경상북도는 정부에 주택복구 지원금을 자연 재난에 준하는 수준으로 올려 줄 것을 건의했지만,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이재민들은 답답한 심정으로 지켜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그래픽:김미령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