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바다 온난화…대책 시급
입력 2021.09.06 (21:29)
수정 2021.09.24 (16: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직접 독도 앞바다를 수중취재한 박영민 기자에게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박 기자, 앞서 보도했듯이 우리나라 수온이 1.23도 올랐다는데 이게 어느 정도 뜨거워진거죠?
[기자]
정확히는 표층수온이 그정도 오른건데요.
보통, 바다 수온이 1도 오르는 건 육상의 기온이 5도 이상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난해 여름 기온이 30도였는데, 올 여름에는 연일 35도가 계속됐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적지 않은 변화죠.
[앵커]
그럼 독도 바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 화면에 나가는 영상이 제가 직접 수중 장비로 기록한 온도인데요
당일 해수면 부근 수온이 27도까지 올랐습니다.
이 정도면 다이버들은 온탕에 왔다고 말할 정도인데요.
어류뿐만 아니라 따뜻한 물에서 자라는 해조류까지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바다 자원, 수산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건데 제대로 대응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이런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6년 전부터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귀포와 울진 등 6곳에선 매년 진행중입니다.
수십년 동안 자료를 쌓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앞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앵커]
박 기자, 잘들었습니다.
그럼 직접 독도 앞바다를 수중취재한 박영민 기자에게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박 기자, 앞서 보도했듯이 우리나라 수온이 1.23도 올랐다는데 이게 어느 정도 뜨거워진거죠?
[기자]
정확히는 표층수온이 그정도 오른건데요.
보통, 바다 수온이 1도 오르는 건 육상의 기온이 5도 이상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난해 여름 기온이 30도였는데, 올 여름에는 연일 35도가 계속됐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적지 않은 변화죠.
[앵커]
그럼 독도 바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 화면에 나가는 영상이 제가 직접 수중 장비로 기록한 온도인데요
당일 해수면 부근 수온이 27도까지 올랐습니다.
이 정도면 다이버들은 온탕에 왔다고 말할 정도인데요.
어류뿐만 아니라 따뜻한 물에서 자라는 해조류까지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바다 자원, 수산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건데 제대로 대응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이런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6년 전부터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귀포와 울진 등 6곳에선 매년 진행중입니다.
수십년 동안 자료를 쌓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앞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앵커]
박 기자, 잘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급변하는 바다 온난화…대책 시급
-
- 입력 2021-09-06 21:29:17
- 수정2021-09-24 16:35:49

[앵커]
그럼 직접 독도 앞바다를 수중취재한 박영민 기자에게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박 기자, 앞서 보도했듯이 우리나라 수온이 1.23도 올랐다는데 이게 어느 정도 뜨거워진거죠?
[기자]
정확히는 표층수온이 그정도 오른건데요.
보통, 바다 수온이 1도 오르는 건 육상의 기온이 5도 이상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난해 여름 기온이 30도였는데, 올 여름에는 연일 35도가 계속됐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적지 않은 변화죠.
[앵커]
그럼 독도 바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 화면에 나가는 영상이 제가 직접 수중 장비로 기록한 온도인데요
당일 해수면 부근 수온이 27도까지 올랐습니다.
이 정도면 다이버들은 온탕에 왔다고 말할 정도인데요.
어류뿐만 아니라 따뜻한 물에서 자라는 해조류까지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바다 자원, 수산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건데 제대로 대응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이런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6년 전부터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귀포와 울진 등 6곳에선 매년 진행중입니다.
수십년 동안 자료를 쌓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앞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앵커]
박 기자, 잘들었습니다.
그럼 직접 독도 앞바다를 수중취재한 박영민 기자에게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박 기자, 앞서 보도했듯이 우리나라 수온이 1.23도 올랐다는데 이게 어느 정도 뜨거워진거죠?
[기자]
정확히는 표층수온이 그정도 오른건데요.
보통, 바다 수온이 1도 오르는 건 육상의 기온이 5도 이상 오르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지난해 여름 기온이 30도였는데, 올 여름에는 연일 35도가 계속됐다 이렇게 보면 됩니다.
적지 않은 변화죠.
[앵커]
그럼 독도 바다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 화면에 나가는 영상이 제가 직접 수중 장비로 기록한 온도인데요
당일 해수면 부근 수온이 27도까지 올랐습니다.
이 정도면 다이버들은 온탕에 왔다고 말할 정도인데요.
어류뿐만 아니라 따뜻한 물에서 자라는 해조류까지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바다 자원, 수산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건데 제대로 대응하고 있습니까?
[기자]
네, 이런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6년 전부터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서귀포와 울진 등 6곳에선 매년 진행중입니다.
수십년 동안 자료를 쌓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앞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앵커]
박 기자, 잘들었습니다.
-
-
박영민 기자 youngmin@kbs.co.kr
박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1.5도의 경고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