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소방관 사망…실종 열흘 만

입력 2025.08.20 (19:29) 수정 2025.08.20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구조 활동에 나섰던 30대 소방대원이 실종 열흘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대원은 참사 이후부터 최근까지 우울증 증세를 호소해 왔습니다.

여소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5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

지난 10일 당시 구조 작업에 투입됐던 소방관 박 모 씨가 실종됐습니다.

새벽 시간, 고속도로 요금소 인근 갓길에 차를 세워두고 사라진 게, 마지막 모습이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낮 12시 반쯤, 경기 시흥의 한 다리 아래에서 박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경찰은 그동안 CCTV 등을 통해 박 씨의 동선을 파악하고 인근을 수색해 왔는데, 오늘, 박 씨 차량에서 8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숨져 있던 박 씨를 발견한 겁니다.

실종 신고가 접수된 지 열흘 만입니다.

박 씨는 지난 9일 지인들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문자를 남긴 뒤, 행적이 끊겼습니다.

인천소방본부는 박 씨가 참사 이후 우울증으로 심리 상담을 받아왔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4월까지 소방청에서 지원하는 심리 상담과 병원 진료 등 12차례 치료를 받았지만, 지속적인 트라우마에 시달렸던 것으로 보입니다.

[서민기/전국공무원노동조합 인천소방지부장 : "소방 같은 경우는 계급 사회잖아요. 트라우마가 있다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편하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소방청은 이태원 참사 1년 뒤에도 트라우마 치료를 받은 소방대원이 1,300명이 넘는다고 밝혔습니다.

[백종우/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다른 소방관들이 처음에 얘기를 함께 듣는 것들이 (트라우마)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됐고요."]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입장문을 내고 "가눌 수 없는 절망과 애통함을 느낀다"며 박 씨의 죽음을 애도했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이병권/영상편집:이상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소방관 사망…실종 열흘 만
    • 입력 2025-08-20 19:29:17
    • 수정2025-08-20 19:54:31
    뉴스 7
[앵커]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구조 활동에 나섰던 30대 소방대원이 실종 열흘 만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대원은 참사 이후부터 최근까지 우울증 증세를 호소해 왔습니다.

여소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15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참사.

지난 10일 당시 구조 작업에 투입됐던 소방관 박 모 씨가 실종됐습니다.

새벽 시간, 고속도로 요금소 인근 갓길에 차를 세워두고 사라진 게, 마지막 모습이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낮 12시 반쯤, 경기 시흥의 한 다리 아래에서 박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경찰은 그동안 CCTV 등을 통해 박 씨의 동선을 파악하고 인근을 수색해 왔는데, 오늘, 박 씨 차량에서 8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숨져 있던 박 씨를 발견한 겁니다.

실종 신고가 접수된 지 열흘 만입니다.

박 씨는 지난 9일 지인들에게 미안하다는 취지의 문자를 남긴 뒤, 행적이 끊겼습니다.

인천소방본부는 박 씨가 참사 이후 우울증으로 심리 상담을 받아왔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4월까지 소방청에서 지원하는 심리 상담과 병원 진료 등 12차례 치료를 받았지만, 지속적인 트라우마에 시달렸던 것으로 보입니다.

[서민기/전국공무원노동조합 인천소방지부장 : "소방 같은 경우는 계급 사회잖아요. 트라우마가 있다 하더라도 직장 내에서 편하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소방청은 이태원 참사 1년 뒤에도 트라우마 치료를 받은 소방대원이 1,300명이 넘는다고 밝혔습니다.

[백종우/경희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다른 소방관들이 처음에 얘기를 함께 듣는 것들이 (트라우마)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됐고요."]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입장문을 내고 "가눌 수 없는 절망과 애통함을 느낀다"며 박 씨의 죽음을 애도했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이병권/영상편집:이상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