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정책 방향은?] 대북 정책
입력 2012.12.24 (21:23)
수정 2012.12.25 (23: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박근혜 당선인의 정책 공약이 어떻게 실현돼야 하는지 분야별로 살펴보는 순서, 오늘은 대북정책입니다.
박 당선인은 남북간 신뢰 회복을 통해 관계 개선을 이루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주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박근혜 당선인의 대북정책은 남북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대화 추진과 관계 개선으로 요약됩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당선인/11.5) : "우리의 대북정책도 진화해야 합니다. 유화 아니면 강경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대북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궁극적으로 북한의 핵 폐기를 추구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와 같지만,비핵화 전이라도 다양한 채널의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점에서 전향적입니다.
남북간 신뢰 회복을 위해 서울-평양 간 상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북한의 교통 통신 인프라 확충과 개성공단 국제화,지하자원 공동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당선인/11.5)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평화를 만들 것이고, 이는 통일의 초석이 될 것입니다. "
북한의 취약 계층 지원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인 사안은 정치 문제와 분리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남북 관계의 본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의 태도 변화가 필수적입니다.
핵과 미사일 개발에 몰두해 유엔 등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에 우리 정부만 일방적으로 유화적인 정책을 쓸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한다면, 남북관계는 새정부 출범 초기부터 또다시 돌이키기 힘든 경색 국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유호열(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강도높은 제재가 가해질 경우 자기들이 취할 수 있는 것은 뭐 그동안 준비해왔던 3차 핵실험이 될 것이고..."
북한은 최근 박 당선인의 대북정책이 이명박 정부와 다를 게 없다며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남북 대화와 관계 개선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되, 북한의 불가측성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박근혜 당선인의 정책 공약이 어떻게 실현돼야 하는지 분야별로 살펴보는 순서, 오늘은 대북정책입니다.
박 당선인은 남북간 신뢰 회복을 통해 관계 개선을 이루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주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박근혜 당선인의 대북정책은 남북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대화 추진과 관계 개선으로 요약됩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당선인/11.5) : "우리의 대북정책도 진화해야 합니다. 유화 아니면 강경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대북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궁극적으로 북한의 핵 폐기를 추구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와 같지만,비핵화 전이라도 다양한 채널의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점에서 전향적입니다.
남북간 신뢰 회복을 위해 서울-평양 간 상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북한의 교통 통신 인프라 확충과 개성공단 국제화,지하자원 공동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당선인/11.5)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평화를 만들 것이고, 이는 통일의 초석이 될 것입니다. "
북한의 취약 계층 지원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인 사안은 정치 문제와 분리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남북 관계의 본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의 태도 변화가 필수적입니다.
핵과 미사일 개발에 몰두해 유엔 등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에 우리 정부만 일방적으로 유화적인 정책을 쓸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한다면, 남북관계는 새정부 출범 초기부터 또다시 돌이키기 힘든 경색 국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유호열(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강도높은 제재가 가해질 경우 자기들이 취할 수 있는 것은 뭐 그동안 준비해왔던 3차 핵실험이 될 것이고..."
북한은 최근 박 당선인의 대북정책이 이명박 정부와 다를 게 없다며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남북 대화와 관계 개선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되, 북한의 불가측성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 정부 정책 방향은?] 대북 정책
-
- 입력 2012-12-24 21:26:12
- 수정2012-12-25 23:50:16

<앵커 멘트>
박근혜 당선인의 정책 공약이 어떻게 실현돼야 하는지 분야별로 살펴보는 순서, 오늘은 대북정책입니다.
박 당선인은 남북간 신뢰 회복을 통해 관계 개선을 이루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주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박근혜 당선인의 대북정책은 남북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 대화 추진과 관계 개선으로 요약됩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당선인/11.5) : "우리의 대북정책도 진화해야 합니다. 유화 아니면 강경이라는 이분법적 접근에서 벗어나 균형 잡힌 대북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궁극적으로 북한의 핵 폐기를 추구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와 같지만,비핵화 전이라도 다양한 채널의 대화를 추진하겠다는 점에서 전향적입니다.
남북간 신뢰 회복을 위해 서울-평양 간 상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북한의 교통 통신 인프라 확충과 개성공단 국제화,지하자원 공동개발 등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박근혜(대통령 당선인/11.5)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평화를 만들 것이고, 이는 통일의 초석이 될 것입니다. "
북한의 취약 계층 지원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 인도적인 사안은 정치 문제와 분리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남북 관계의 본질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의 태도 변화가 필수적입니다.
핵과 미사일 개발에 몰두해 유엔 등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에 우리 정부만 일방적으로 유화적인 정책을 쓸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얼마 전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한다면, 남북관계는 새정부 출범 초기부터 또다시 돌이키기 힘든 경색 국면으로 진입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유호열(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강도높은 제재가 가해질 경우 자기들이 취할 수 있는 것은 뭐 그동안 준비해왔던 3차 핵실험이 될 것이고..."
북한은 최근 박 당선인의 대북정책이 이명박 정부와 다를 게 없다며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남북 대화와 관계 개선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되, 북한의 불가측성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새 정부 정책 방향은?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